학술논문
<숙향전>의 근원설화 <숙향이굴> 전설
이용수 51
- 영문명
- Sukhyangyigul legend, Original tales of Sukhyangjeon: Focusing on the Name of a place and Content comparison in the two works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김순재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14輯, 195~22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숙향전>과 논산의 <숙향이굴> 전설에 등장하는 지명과 내용 비교를 통한 유사성을 바탕으로, <숙향이굴> 전설이 <숙향전>의 근원설화일 가능성을 제기해 보았다.
<숙향전>과 <숙향이굴> 전설은 지명적 유사성을 갖는다. 첫째, <숙향전>과 <숙향이굴> 전설에는 모두 ‘숙향이굴’과 숙향이 바위틈(숙향이굴)에 숨는 화소가 나타난다. 둘째, <숙향전>과 <숙향이굴> 전설에는 모두 ‘반야산’이 등장하며, 반야산(盤若山)이라는 한자명까지도 동일하다. 셋째, <숙향전>과 <숙향이굴> 전설에는 모두 ‘표진강’과 숙향이 표진강에 투신하는 화소가 나타나며, 표진강(漂津江)이라는 한자명까지도 일치한다.
<숙향전>과 <숙향이굴> 전설은 내용적 유사성을 갖는다. 첫째, <숙향전>과 <숙향이굴> 전설의 주인공은 모두 ‘숙향(淑香)’으로 한자 이름까지도 동일하다. 둘째, <숙향전>에서 숙향은 중국의 4대 미인에 비견될 만큼 매우 아름답다고 묘사되며, <숙향이굴> 전설의 숙향도 백제의 양귀비라 불릴 정도로 매우 아름답게 묘사된다. 셋째, <숙향전>과 <숙향이굴> 전설에서 숙향의 출생은 모두 어부와 관련되어 있다. <숙향전>에서 숙향은 태어나게 된 내력이 어부와 관련되어 있으며, <숙향이굴> 전설에서 숙향은 어부의 딸이다. 넷째, <숙향전>에서 숙향은 바느질 솜씨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묘사되며, <숙향이굴> 전설의 숙향 또한 나름대로 좋은 바느질 솜씨를 가지고 있다. 다섯째, <숙향전>과 <숙향이굴> 전설 모두 숙향은 부당한 권력에 의해 사랑하는 남자와 혼사 장애를 겪어 죽음의 위기까지 닥쳐온다.
이러한 지명적·내용적 유사성의 근거들로 <숙향전>은 논산이 고향인 작자가 <숙향이굴> 전설을 근원설화로 삼았으며, 여기에 도교적 세계관·불교의 윤회 사상·유교의 충효 사상·적강 화소·용궁 화소·水族報恩설화·亂中棄兒 보호설화·仙藥求得설화·건국신화·서사무가 등을 배경설화로 결합하여 창작한 고전소설이라고 추정해 본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similarity through Name of a place and Content comparison in Sukhyangjeon and Nonsan’s Sukhyangyigul legen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ukhyangyigul legend is the Original tales of Sukhyangjeon.
Sukhyangjeon and Sukhyangyigul legend have geographical name similarities. First, both Sukhyangjeon and Sukhyangyigul legend have ‘Sukhyangyigul’ and a motif that Sukhyang hide between rocks. Second, in the Sukhyangjeon and Sukhyangyigul legend both appear ‘Banyasan Mountain’, and even the Chinese character name for Banyasan Mountain(盤若山) is the same. Third, both Sukhyangjeon and Sukhyangyigul legend have ‘Pyojingang River’ and a motif that Sukhyang drown herself in the Pyojingang River, and even the Chinese character name for Pyojingang River(漂津江) is the same.
Sukhyangjeon and Sukhyangyigul legend have content similarities. First, both Sukhyangjeon and Sukhyangyigul legend’s main characters is ‘Sukhyang(淑香)’, and even the Chinese character name is the same. Second, in Sukhyangjeon, Sukhyang is described as very beautiful equal to the four beautiful woman of China, and in Sukhyangyigul legend’s Sukhyang is described as very beautiful enough to be called Baekje’s Yang Kuei-fei. Third, in Sukhyangjeon and Sukhyangyigul legend, Sukhyang’s birth is all related to fishermen. In Sukhyangjeon, Sukhyang’s birth history is related to fishermen, and in Sukhyangyigul legend, Sukhyang is a fisherman’s daughter. Fourth, in Sukhyangjeon, Sukhyang is described as having excellent sewing skills, Sukhyang of Sukhyangyigul legend also has good sewing skills. Fifth, both Sukhyangjeon and Sukhyangyigul legend’s Sukhyang face a death crisis because of marriage obstacle with the man she love due to unjust power.
For this geographical name and content similarities reason, it can be seen the author whose hometown is Nonsan, wrote Sukhyangjeon based on Sukhyangyigul legend. In addition, it can be assumed that the author created a Classical novel by combining Taoist worldviews, Samsara thought, Confucian’s loyalty and filial piety thought, Banishment from heaven motif, Palace of sea kings motif, Aquatic organisms’ requital of kindness tales, Protection tales of a child abandoned in a war, Tales to get medicine of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 The birth myth of a nations and Narrative shamanism songs into Background tales in Sukhyangjeon.
목차
1. 머리말
2. <숙향전>과 <숙향이굴> 전설의 지명적 유사성
3. <숙향전>과 <숙향이굴> 전설의 내용적 유사성
4. 맺음말: <숙향전>의 근원설화 <숙향이굴> 전설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중국어 대조 번역 오류 연구
- 『어문연구』 60년의 발전사
-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와 태국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
- 克齋 魚允績(1847~1933)家 한글편지에 나타난 서간도 망명가족의 삶
- 재일조선인 시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미
- 국어 ‘이다’와 중국어 ‘시(是)’의 대조 연구
- 사회적 맥락, 체면 위협 행위와 사과화행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이중주어문의 생략어 복원에 대한 연구
- 메타에듀의 실천적 방법 연구
- 지방자치 시대 충청지역 한문학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 <숙향전>의 근원설화 <숙향이굴> 전설
- <옹고집전>의 타자화 기법과 인물의 정체성 확립
- 비대면에서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확장을 위한 고전소설의 역할
- 오탁번의 「굴비」와 김동인의 「감자」에 나타난 주체 양상 연구
- 일본어의 한글 표기 및 그 운율의 리듬분석을 통한 새 교육 방안 연구 (2)
- 20세기 전후기 영동군(永同郡) 동리명(洞里名)의 변천 양상 고찰
- 해외 대학 한국어 전공 과정 내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류황후>의 비첩형(婢妾型) 인물 연구
- 소설 「큐티클」 속 청년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 및 낙관주의 오류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 1970년대 소설의 여성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