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외 대학 한국어 전공 과정 내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113
- 영문명
- A Study on How Korean Studies Exchange Student Programs in Overseas Universities Affect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Curriculum at the University of Sheffield in the UK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김수은 곽새롬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14輯, 495~52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해외 대학의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것으로, 한국어 전공 학생들의 학습 동기 및 태도가 교환학생 프로그램 경험을 중심으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국 셰필드대학교 한국학과의 교육과정을 사례로 삼았는데, 영국 셰필드대학교는 총 4학년의 한국어 교육과정 중 1년 간의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 이수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셰필드대학교 한국학과 학부 1~4학년 과정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 동기,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 등을 알아보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분석하고, 셰필드대학교 및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모두 경험한 4학년 학생에게 보충 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조사의 질적 해석력을 높였다. 연구 결과, 셰필드대학교 한국학과 학생들은 대부분 입학 당시 한국어를 처음 배우기 시작하고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에 처음 체류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초 한국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연스러운 학습 맥락의 이동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과정 및 국내외 연계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로 이야기하는 것에 대한 불안이 교환학생 경험을 통해 다소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구어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적 처치가 요구되었다. 마지막으로, 교환학생 경험을 통해 한국어가 더욱 재미있다고 느끼거나 학습 목표 및 동기가 강화된 사례를 발견할 수 있어, 졸업 전까지 목표를 구체화하고 진로로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나 동아리 활동 등을 지원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learner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program at overseas universities change their motivations and attitudes toward Korean language learning after experiencing exchange student programs in Korea. The data was retrieved from students in the first to fourth years of the Korean Studies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Sheffield, which requires the completion of one year of the exchange student program in Korea out of a total of four year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irst,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the students’ motive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their attitudes toward Korea and Korean culture.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survey, supplementar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th-year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both the University of Sheffield and exchange programs in Korea. This study found that most of the students of the Korean Studies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Sheffield started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the first time at the time of admission and experienced their first stay in Korea through the exchange student progra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both a curriculum that can promote efficient learning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primary Korean language and a program that is linked with Korea and overseas are needed. Moreover, while students' anxiety about speaking in Korean was to some degree reduced after their experience of the exchange program, it was still at a high level. Therefore educational treatment for oral communication was required. Finally, we found cases in which the experience of the exchange program enhanced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achieving a higher level. Accordingly, there was a need to support education and club activities that allow students to specify their goals before graduation and link them to their career paths.
목차
1. 서론
2. 연구의 배경
3. 조사 대상 및 방법
4. 연구의 결과 및 함의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중국어 대조 번역 오류 연구
- 『어문연구』 60년의 발전사
-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와 태국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
- 克齋 魚允績(1847~1933)家 한글편지에 나타난 서간도 망명가족의 삶
- 재일조선인 시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미
- 국어 ‘이다’와 중국어 ‘시(是)’의 대조 연구
- 사회적 맥락, 체면 위협 행위와 사과화행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이중주어문의 생략어 복원에 대한 연구
- 메타에듀의 실천적 방법 연구
- 지방자치 시대 충청지역 한문학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 <숙향전>의 근원설화 <숙향이굴> 전설
- <옹고집전>의 타자화 기법과 인물의 정체성 확립
- 비대면에서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확장을 위한 고전소설의 역할
- 오탁번의 「굴비」와 김동인의 「감자」에 나타난 주체 양상 연구
- 일본어의 한글 표기 및 그 운율의 리듬분석을 통한 새 교육 방안 연구 (2)
- 20세기 전후기 영동군(永同郡) 동리명(洞里名)의 변천 양상 고찰
- 해외 대학 한국어 전공 과정 내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류황후>의 비첩형(婢妾型) 인물 연구
- 소설 「큐티클」 속 청년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 및 낙관주의 오류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 1970년대 소설의 여성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