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 ‘이다’와 중국어 ‘시(是)’의 대조 연구
이용수 32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이다' and Chinese ‘是’: A Study on the Correspondence Pattern of ‘이-’ and ‘是’ of ‘Adverb+이다’ and the theory of ‘copula’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이지연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14輯, 123~15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 ‘부사+이다’의 ‘이-’와 중국어 ‘시(是)’의 대응 양상 대조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시(是)’가 언어유형론적 계사에 속하는지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기존 한·중 대조 연구에서는 국어 ‘-이다’ 뿐만 아니라 ‘-이다’에 대응되는 한자어 ‘是’ 역시 계사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중국어 문범에는 계사라는 품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한자어 ‘是’는 전형적인 계사의 예로 들 수 있는 영어의 ‘be’ 동사나 국어의 ‘-이다’와 통사적 특징이 완전히 일치하지도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언어를 대조 연구하여 진행한 몇몇 논의에서는 ‘是’가 구문에 출현한 경우 언어유형론적 계사와 유사한 통사적 특징이 나타난다는 이유를 들어 ‘是’가 계사에 해당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是’가 구문에서 나타나는 경우 항상 진정한 계사로 정의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동시에 대조 연구의 시각으로, 언어유형론적 계사구문에 국어 ‘-이다’가 출현할 때 ‘-이다’와 공기할 수 있는 선행성분을 찾아보고, 해당 선행성분에 대응되는 중국 한자어 ‘是’의 계사설에 대해 재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是’가 언어유형론적 계사에 속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계사의 개념을 명확히 규명하고자 가장 먼저 여러 언어의 측면에서 계사의 개념을 고찰하였고, 각 언어에서 계사가 통사 특징적으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는지 분석하고 설명하였다. 또한 ‘是’가 구문에 출현할 때 어떤 통사적 특징을 지니는지 파악하기 위해 중국어 기초문법의 ‘是’에 대한 통사규범도 함께 알아보았다. 또한 한·중 양언어의 계사구문에서 나타나는 통사적 특징을 고찰하여 해당 단어의 계사 여부를 파악하고 비교·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다’는 반드시 계사구문(SOV)에서 ‘O’성분(선행성분)과 공기해야만 서술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반면 한자어 ‘是’는 계사구문(SVO)에서 반드시 ‘O’과 공기할 필요가 없다. 또한 구문에서 국어 ‘-이다’의 선행성분 ‘O’에 올 수 있는 품사로는 명사화된 성분과 부사 두 가지만 가능하지만, 중국어 ‘是’의 후행성분 ‘O’에는 명사, 동사, 형용사나 구, 절 등 다양한 성분들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 또한 두드러진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들을 고려하여, 중국어 ‘是’의 ‘O’ 성분에 어떤 성분이 나타나는지에 따라 ‘是’의 계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간 대부분의 한·중 대조연구에서는 ‘부사+이다’ 구문의 ‘이다’를 한자어 ‘是’와 대응시켜 모두 계사로 설정하고 비교·분석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부사+이다’ 구문의 ‘이-’와 중국어의 ‘是’가 대응되는 경우는 매우 적고, 오히려 형용사나 동사와 대응되는 경우가 훨씬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본 연구는 ‘-이다’ 구문과 대응되는 한자어 ‘是’ 구문의 통사적 유형과 양상을 추출하여 표로 정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syntax in which ‘是' appears, and to analyze whether ‘是' belongs to linguistic typological copula, especially based on the corresponding patterns of ‘-이다' and ‘是' of ‘Adverb+이다' syntax.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 copula syntax in both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First, ‘-이다' must appear with the ‘O' component in the copula syntax(SOV) to realize the function of the predicate.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word ‘是'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appear with the ‘O' component in the the copula syntax (SVO). Second, only nominal constituents and adverbs can be used as the leading ingredient ‘O' of the Korean ‘-이다' in the syntax, but it is also notable that various ingredients such as nouns, verbs, adjectives, phrases, and sentences can appear in the trailing ingredient ‘O' of the Chinese ‘是'. Therefore,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是' is copula according to what ingredients appear in the ‘O' component of Chinese ‘是'.
In most Korean-Chinese comparative studies, ‘이-' in the ‘Adverb+이다' syntax was set to ‘copula’ and compared and analyzed by corresponding to the Chinese character ‘是'. However, in fact, there are very few cases where ‘이-' in the Korean ‘Adverb+이다' syntax and ‘是' in Chinese correspond.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much more cases that correspond to adjectives or verbs. Through these analyses, this study extracts the syntactic syntactic types and aspects of the Chinese character ‘是' syntax corresponding to the Korean ‘-이다' syntax and summarizes it in a table.
목차
1. 머리말
2. 언어유형론적 계사(繫辭)의 특징
3. 국어 ‘-이다’와 한자어 ‘시(是)’의 계사설
4. ‘부사+이다’ 구문의 일반적인 특징
5. ‘부사+이다’의 ‘이-’와 ‘시(是)’의 대응 양상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중국어 대조 번역 오류 연구
- 『어문연구』 60년의 발전사
-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와 태국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
- 克齋 魚允績(1847~1933)家 한글편지에 나타난 서간도 망명가족의 삶
- 재일조선인 시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미
- 국어 ‘이다’와 중국어 ‘시(是)’의 대조 연구
- 사회적 맥락, 체면 위협 행위와 사과화행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이중주어문의 생략어 복원에 대한 연구
- 메타에듀의 실천적 방법 연구
- 지방자치 시대 충청지역 한문학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 <숙향전>의 근원설화 <숙향이굴> 전설
- <옹고집전>의 타자화 기법과 인물의 정체성 확립
- 비대면에서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확장을 위한 고전소설의 역할
- 오탁번의 「굴비」와 김동인의 「감자」에 나타난 주체 양상 연구
- 일본어의 한글 표기 및 그 운율의 리듬분석을 통한 새 교육 방안 연구 (2)
- 20세기 전후기 영동군(永同郡) 동리명(洞里名)의 변천 양상 고찰
- 해외 대학 한국어 전공 과정 내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류황후>의 비첩형(婢妾型) 인물 연구
- 소설 「큐티클」 속 청년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 및 낙관주의 오류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 1970년대 소설의 여성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