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쇼듕화역ᄃᆡ셜>의 인물 형상화 방식과 의미

이용수 39

영문명
A Study on Characterization Adaption and Meaning of Sojunghwayeokdaeseol: Focused on Character of King Injo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윤보윤(Yoon Bo-yoon)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3輯, 297~33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쇼듕화역ᄃᆡ셜>에 나타난 인조의 형상화 방식과 그 문학적 의미에 대해 살핀 것이다. <쇼듕화역ᄃᆡ셜>은 작자 미상의 역사서사로, 조선의 군왕과 주요 대신의 일대기를 서술하고 있다. 독자들이 역사적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제 있었던 일을 나열하기도 하고 작자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사건에 대해서는 문예적인 묘사까지 더하기도 한다. <쇼듕화역ᄃᆡ셜> 권지사는 대부분 인조의 일대기로 구성되었는데, 우선 능양군이 왕위에 오르기까지 인조반정의 과정을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이괄의 난 부분에서는 역모가 일어난 이유와 사건의 전개, 관군이 전투에서 승리한 장면까지 소개하였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부분에서는 조선이 처한 어려움을 사실적으로 그리되 그 대상이 인조를 비롯한 왕실과 주변 대신 정도로 한정되었다. <쇼듕화역ᄃᆡ셜>은 역사서사로서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일차적 목표였을 것이나 몇몇 상황에서는 인조를 특별하게 형상화하였다. 첫째, 인조와 대신들의 관계를 부각하고 있다. 인조반정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능양군과 김류의 기이한 인연을 서사하면서 이항복과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또한 인조가 등용한 인물 중 혁혁한 공을 세운 신하들이 이항복과 연관이 있음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척화신과의 관계를 통해 임금의 자애로운 모습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둘째, 인조가 여러 차례 반란과 전쟁을 겪으며 시련을 감내하였음을 극대화하여 표현하였다. 조선이 전란에 휩싸인 것은 인조를 위시한 집권층의 무능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이러한 사건의 원인을 어쩔 수 없는 운명 탓으로 돌리고 인조가 감당해야 하는 고난에만 집중하였다. 그리하여 이괄의 난이나 병자호란에서 몽진하였을 때의 궁색한 기억과 삼전도에서의 치욕을 매우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인조가 전란의 가장 큰 피해자인 것처럼 형상화하였다. 셋째, 인조와 광해군의 선명한 대비를 통해 인조를 칭송하고자 하였다. 능양군의 탄생을 신이하게 연출하기도 하고 일찍이 선조에게 인정받은 존재임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뛰어난 신하들이 인조와 대의를 함께 하는 모습을 통해 그의 인품이 고귀함을 알렸다. 이러한 자질을 가지지 못해 민생을 도탄에 빠뜨리고 서슴없이 패륜을 저지른 광해군은 마땅히 폐위의 대상이 되고, 인조는 반정의 명분을 증명할 수 있었다. <쇼듕화역ᄃᆡ셜>의 독자는 문면을 통해 인조의 인간적인 면모를 발견하고 그를 동정의 대상으로 생각하며 반정을 비롯한 통치행위를 정당하게 여길 수 있었다. 군왕으로서 인조의 무능은 감추고 긍정적인 모습으로 형상화했기 때문이다. 인조에 대한 우호적 이미지는 조선 왕조의 역사 전체에 대한 믿음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곧 작자가 역사를 기술하면서 독자가 보다 희망적인 시선으로 조선의 역사를 접하도록 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ojunghwayeokdaeseol is a historical narrative whose author is unknown, elaborating on stories of kings and ministers entrusted. The life story of King Injo was mainly narrated in volume 4 to inform the whole story of the incidents of King Injo’s Restoration, Rebellion of Yi Gwal, First Manchu Invasion in 1627, and the Byeongja-year War with the Manchurians to reveal the activities of significant figures. Meanwhile, the author intended to express King Injo uniquely in specific scenes. Firstly, King Injo was embodied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ministers. The author tried to convey King Injo’s Restoration more excitingly by elaborating the mysterious connection with Kim Ryu, a literati of Lee Hangbok. He also emphasized King Injo’s insight through the activities of figures like Jeong Chungshin, Hong Myunggu, and Lee Hangbok. The stories with Yoon Jip, Oh Dalje, and Lim Kyungeop also show the benevolent and gracious aspects of the king. Secondly, the painful trials during the rebellion and war which King Injo went through were significantly expressed. King Injo’s agony during the rebellion of Yi Gwal was described in very detail. During the First Manchu Invasion in 1627, he was forced to forge a treaty as a brotherhood nation with Houjin. In addition, the humiliation of surrender at Samjeondo during the Byeongja-year War with the Manchurians was elaborated with how Qing Empire persecuted King Injo. Thirdly, the personality of Injo was an austere counterpoint to that of Gwanghaegun. The author emphasized that King Injo was recognized by his ancestors, and his character was good enough for ministers to pledge their fidelity. On the other hand, he described in detail how disqualified Gwanghaegun was as a King because he committed treason without caring for the people’s livelihood. It implies that King Injo was qualified to be a successor, but Gwanghaegun was the target of eradication. Sojunghwayeokdaeseol represents a historical narrative that records actual events. However, it is a literature work expressing the author’s consciousness to convey the tragic history, including the Byeongja-year War with the Manchurians, in a more positive direction. It could be a way to narrate the entire history of Joseon from a positive perspective, not to record everything precisely the same as the facts but to emphasize some events of history.

목차

1. 머리말
2. <쇼듕화역셜>에 나타난 인조 관련 서사
3. 인조를 형상화한 방식
4. 문학적 형상화의 효용과 의미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보윤(Yoon Bo-yoon). (2022).<쇼듕화역ᄃᆡ셜>의 인물 형상화 방식과 의미. 어문연구, (), 297-334

MLA

윤보윤(Yoon Bo-yoon). "<쇼듕화역ᄃᆡ셜>의 인물 형상화 방식과 의미." 어문연구, (2022): 297-3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