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단의 <대만기행가>와 <내몽고여행기> 고찰
이용수 80
- 영문명
- Consideration on
and Written by Koh Dan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김기영(Kim Ki-you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13輯, 121~14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고단(1922-2009)의 해외기행가사 <대만기행가>와 <내몽기여행기>에 대해 작품의 실상과 현대적 가치를 살핀 연구이다.
<대만기행가>는 작자 나이 62세, 1983년 8월에 창작된 작품이다. 거주지인 전주를 떠나 김포공항 부근의 김포장에서 일박하고, 다음 날 공항을 이륙하여 다시 김포공항에 도착하기까지 총 7일간 대만을 여행하며 견문한 사실을 전하고 있다. 여행의 주된 목적은 국제교류 서예전 참석이었다. 작품은 ‘1) 서사: 여행 동기’에서 ‘11) 결사: 쇼핑과 귀국’에 이르기까지 3대단 11소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을 통해 볼 때, 특히, 문화적 동기와 사교적 동기가 화자의 관광행동을 추동했음을 알 수 있다. 작품에 보이는 대만의 역사와 유물과 사회․문화에 대한 관심에서 전자를, 여행 중 만난 사람들을 자주 언급하는 데서 후자를 확인하게 된다. 서정성이 압도하는 가사 작품이지만, 대만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전하거나 당대의 이슈였던 중국민항기 납치 사건을 다루는 장면에서 작품의 교술성도 주목하게 된다. 작품은 총 292구, 141행 길이의 가사로서 4음보 1행이 123개(87.23%)로 압도적이다. 한 구를 이루는 음수율을 보면, 4․4조가 228구(78.08%), 3․4조가 58구(19.86%)의 유장한 율동의 가사 작품이다. 다양한 수사법의 활용을 통해 작품의 문학성을 제고하고 있다.
<내몽고여행기>는 작자 나이 80세, 2001년 8월 15일에 지어진 작품이다. 6월 21일에서 24일까지 3박 4일간의 내몽골 여행의 견문을 기록하였다. 작품은 ‘1) 서사: 몽골 소개 및 호화호특시 착륙’에서 ‘11) 결사: 공항 도착과 호화 씨 전송’에 이르기까지 3대단 11소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품의 내용을 통해 볼 때, 화자는 특히 문화적 동기로 여행에 임했음을 확인하게 된다. 화자가 주목하여 전하는 내용의 대부분이 내몽골[몽골]의 역사와 문화유산에 맞닿아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교술성이 압도하는 가사 작품이다. 율격면에서 보면, 지극히 산문화되어 있다. 진술의 방식으로 보면, 객관적 묘사나 정의적 설명 방식을 주목하게 되고, 수사법 또한 적재적소에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우선, 고단 기행가사의 종합적 연구 등 학술 연구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여행 안내서나 자료집 가공에 활용되어 얼마간의 수익 창출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대만기행가>의 작품 실상
3. <내몽고여행기>의 작품 실상
4. 결론: 현대적 가치 파악을 겸하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단의 <대만기행가>와 <내몽고여행기> 고찰
- 일제강점기 독서 현황과 독서법 연구
- <음식방문니라>의 국어학적 연구
- <쇼듕화역ᄃᆡ셜>의 인물 형상화 방식과 의미
- 牖窩 金履翼의 『觀城雜錄』 소재 유배시조의 특질과 지향의식
- 영화 〈아이 캔 스피크〉의 서사전략과 언어의 역할
- 개화파 지식인 金允植의 『沔陽行遣日記』 연구
- 전라 방언 ‘탁하다’와 ‘포도시’의 어휘사 고찰
- 한중 변상(變相)의 전승과 그림연행의 양상
- 윤중호 시의 장소적 특성 연구
- 『萬里初程(만니초졍)』 소재 한글편지를 통해 본 어윤적 가의 삶
- <어느 주름진 교도관의 독백>에 나타난 이야기 양상과 현대사적 가치
- 1920년대 이기영 소설의 젠더 감성과 그 역학
- 현대시에 나타난 동물 제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