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in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오필애(Oh Pil-ae) 배영환(Bae Young-hwan)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13輯, 37~6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충남 홍성 지역에서 전해오는 고조리서 <음식방문니라>의 서지적, 국어학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책은 이전에 소개된 적이 있으나, 국어학적인 방면에서는 아직 제대로 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자료적 특징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필사기를 통해 볼 때 이 책은 1891년 홍성 지역의 전의 이씨(1867-1938)에 의해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에는 총 69가지의 조리 방법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 중 59가지가 『규합총서』와 조리명이 일치하며, 약 33가지 정도에서 조리 방법이 매우 유사함을 살필 수 있었다.
국어학적 특징으로는 근대국어의 표기법에 나타난 연철, 분철, 중철의 혼기 양상이 나타나며, 모음 ‘i’와 반모음 ‘y’ 앞에서 ‘ㄴ’을 첨가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초성에 사용된 어두 합용병서는 ‘ㅅ’계로만 나타나고 있었으며, 종성의 경우 ‘7종성’ 규칙을 따르고 있었다. 음운론적인 특징으로는 ㄷ구개음화 현상이 두드러지며, ㄱ-구개음화와 ㅎ-구개음화 현상이 확인된다. ‘ㅎ’ 말음 어간의 경우 유성음 사이에서 일부 탈락되는 모습을 보인다. ‘ᄋᆞ’의 경우 2단계 소실에 따라 비음운화 되었음에도 문자 표기의 보수성으로 인해 ‘아’와 ‘ᄋᆞ’의 혼기 사례들이 많이 보였으며, 충청 방언의 특징으로 볼 수 있는 ‘어>으’의 고모음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ibliographic and Korean-language characteristics of the an old cookbook handed down from Hongseong, Chungcheongnam-do. Although this book has been introduced b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s it has not been properly studied in terms of Korean grammar. In particular, the book is presumed to have been written by 'Jeon Yi' Mrs Lee(1867-1938) of Chungcheongnam-do Hongseong in 1891.
In this book, a total of 69 cooking methods are recorded, 59 of which match the cooking names with 『Gyuhapchongseo』, and about 33 of them showed that the cooking methods were very similar.
As a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language, the notation pattern of 'yeoncheol (unitedly-writtern word), buncheol(separately-writtern word), jungcheol(double writting)' appearing in the notation of in the early modern Korean is shown, and 'ㄴ' is added in front of the vowel 'i' and the half vowel 'y'. In addition, in the 'cho-seong hap-yong byeong-seo(initial consonant clusters)' is only used 'ㅅ-' system. The notation pattern of final consonant(Jong-seong) was adhere to 'Chil-jong-seong(the seven final consonants)'rule. A phonologica characteristic, the palatalization phenomenon is remarkable, the ‘ㄱ palatalization’ phenomenon and the ‘ㅎ palatalization phenomenon’ are confirmed. The 'h(ㅎ)' sound in the final consonant be omitted between in the voiced sounds.
In the case of ‘ᄋᆞ’, many mixed notation cases of ‘아’ and ‘ᄋᆞ’ were seen due to the conservatism of text notation. and the high vowel phenomenon of ‘ Eo(어)>Eu(으)’, which can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the Chungcheong dialect, appeared.
목차
1. 서론
2. 서지적 특징
3. 국어학적 특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단의 <대만기행가>와 <내몽고여행기> 고찰
- 일제강점기 독서 현황과 독서법 연구
- <음식방문니라>의 국어학적 연구
- <쇼듕화역ᄃᆡ셜>의 인물 형상화 방식과 의미
- 牖窩 金履翼의 『觀城雜錄』 소재 유배시조의 특질과 지향의식
- 영화 〈아이 캔 스피크〉의 서사전략과 언어의 역할
- 개화파 지식인 金允植의 『沔陽行遣日記』 연구
- 전라 방언 ‘탁하다’와 ‘포도시’의 어휘사 고찰
- 한중 변상(變相)의 전승과 그림연행의 양상
- 윤중호 시의 장소적 특성 연구
- 『萬里初程(만니초졍)』 소재 한글편지를 통해 본 어윤적 가의 삶
- <어느 주름진 교도관의 독백>에 나타난 이야기 양상과 현대사적 가치
- 1920년대 이기영 소설의 젠더 감성과 그 역학
- 현대시에 나타난 동물 제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