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중 변상(變相)의 전승과 그림연행의 양상

이용수 54

영문명
A study on aspect transmission and painting performance in korea and china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진영(Kim Jin-you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3輯, 147~18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사리불항마변문>의 수권변상(手卷變相)과 <안락국태자변문>의 괘도변상(掛圖變相)을 그림연행의 관점에서 살핀 것이다. 먼저 두 변상의 저본과 유형을 확인하고, 이어서 그림의 구도와 그림연행의 방식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변상의 문예적 가치와 의의를 검토하였다.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변상의 저본과 유형을 확인하였다. <사리불항마변상>의 저본 텍스트는 <항마변문>으로 확인된다. 전체적인 내용이나 삽입가요가 <항마변문>과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안락국태자변상>의 저본은 ≪월인석보≫ 권8의 <안락국태자변문>으로 확인된다. 이 변상의 내용과 삽입가요 등이 <안락국태자변문>과 대부분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두 변상 모두 유형이 크게 둘로 나뉜다. 즉 하나는 고정된 사찰의 벽화로 다른 하나는 이동이 가능한 그림으로 그려졌다. <사리불항마변상>의 수권변상과 <안락국태자변상>의 괘도변상은 후자에 해당된다. 둘째, 두 변상의 구도와 그림연행 방식을 살펴보았다. <사리불항마변상>은 좌우대칭을 통한 병렬구도를 보인다. 사리불 진영을 우측에, 노도차 진영을 왼쪽에 배치하고 가운데에서 투법(鬪法)이 펼쳐진다. 뿐만 아니라 그림의 뒷면에 운문의 변문을 배치하여 그림과 문학의 병치구도를 보이기도 한다. 그 결과 연행 방식은 가창 중심의 강창연행과 반복을 통한 장면연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안락국태자변상>은 상하대칭을 통한 인과구도를 보인다. 상층의 신성계와 하층의 세속계가 대칭을 이루도록 했다. 뿐만 아니라 그림마다 해당되는 국문변문의 내용을 배치하여 그림과 문학의 병치구도를 갖추었다. 그래서 연행방식이 강담 중심의 강창연행과 사건 중심의 맥락연행이 가능할 수 있었다. 셋째, 두 변상의 문예적 가치와 문예사적 의의를 조망하였다. <사리불항마변상>은 연행에서 불교극으로 연출될 수 있다. 목적으로 보았을 때는 불교 포교극으로, 내용으로 보았을 때는 불교 해학극이 될 수 있다. <안락국태자변상>은 불교극을 전제하면서 사라수대왕과 원앙부인을 중심으로 보면 불교 구도극(求道劇)이, 안락국을 중심으로 보면 불교 효행극이 될 수 있다. 이들이 그림연행으로 전승된 것은 각국의 문예사에서 중시할 만하다. 중국의 경우 후대의 그림공연에 영향을 끼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음악을 중시한 송대 제궁조의 강창 장르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었다. 한국의 경우 불교변문이 속변(俗變)인 통속소설로 발전하거나 연행의 전통이 무속으로 확산되기도 하여 문예사적 의의가 주목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scroll painting performances of Sariputta hangmabyeonmoon and hanging painting performances of Anrackook- taejabyeonsang we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painting performance. First, the draft and the type of alteration of the painting performances were indentified, and then the composition of the figure and the method of painting performance were identified. Finally, the literary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two variants were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are summaraized as follows. First, the draft and type of the two variants were identified. The original text of the Sariputta hangmabyeonsang is confirmed as Hangmabyeonmoon. This is because the overall content or insertion song is not different from Hangmabyeonmoon. The origian draft of Anrackooktaejabyeonsang is confirmed as Anrackooktaejabyeonmoon of in volume 8 of WolInseokbo. The overall content or insertion song is unanimous with Anrackooktaejabyeonmoon. And the types of both transformation painting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 In other words, one is painted as a mural of a temple, and the other is painted as a movable transformation painting. The latter includes the scroll painting performances of Sariputta hangmabyeonsang and hanging painting performances of Anrackooktaejabyeonsang. Second, the composition of the two transformation painting and the method of painting performance were examined. Sariputta hangma -byeonsang shows a parallel structure through left-right symmetry. On the right side of Saribul, Nodocha was placed on the left side and the scene of the martial arts was placed in the middle. In addition, the 변문 of verse is placed on the back of the painting to show the juxtaposition of paintings and literature. As a result, it became possible to perform the singing-oriented Tale-Song performance and scene performance through repetiton. Anrackooktaejabyeonsang shows a causal structure through a vertical symmetrical structure. The sacred world at the upper level and the secular world at the lower class were symmetrical.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Korean text corresponding to each picture are arranged to show a parallel structure of paintings and literature.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perform Tale-Song performance centered on discourse and cause-and-effect performance centered on events. Third, the literary value and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two transformation painting were viewed. Sariputta hangmabyeonsang was directed as a Buddhist play in the performance. It can be a Buddhist missionary play in terms of purpose, and a Buddhist humorous play in terms of content. Anrackooktaejabyeonsang presupposes a Buddhist play, and if you look at King Sarasu and Madam Wonang it can be a Buddhist old drama and a Buddhist filial drama if you look at Anrakguk. It is worth not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art in each country that they were handed down through painting performances. In the case of China, not only could it affect later painting performances, but it could also affect Zhugongdiao(諸宮調)) of Tale-Song literature, which emphasized music. In the case of Korea,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is noteworthy as the Buddhist byeonmoon develops into a classic novel, which is a People's byeonmoon, or the tradition of performance spreads to shamanism.

목차

1. 서론
2. 저본 변문과 변상의 유형
3. 변상의 구도와 그림연행의 방식
4. 한중 변상의 문예사적 의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영(Kim Jin-young). (2022).한중 변상(變相)의 전승과 그림연행의 양상. 어문연구, (), 147-181

MLA

김진영(Kim Jin-young). "한중 변상(變相)의 전승과 그림연행의 양상." 어문연구, (2022): 147-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