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牖窩 金履翼의 『觀城雜錄』 소재 유배시조의 특질과 지향의식

이용수 28

영문명
Characteristics and the oriented consciousness of Yuwa Kim Yi-ik’s Exile-Sijo in 『Kwanseongjaplok』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박찬수(Park Chan-soo)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3輯, 217~24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牖窩 金履翼(1743~1830)은 세 번의 유배 중에 60수의 시조와 1편의 가사 작품을 남겼다. 그는 정조 12년(1788년) 3월 12일부터 다음 해 1월 11일까지 10개월 동안 함경도 이성으로 찬배되었다. 그가 유배된 이유는 대신을 무고한 反坐罪였지만, 실은 왕의 권고나 명령에 대해 순복하지 않고 극렬하게 저항했기 때문이었다. 유배되어 10월까지 약 8개월 동안 지은 것으로 여겨지는 『관성잡록』 前編 外에 수록된 시조 작품들은 「戀君第一曲~第三曲」, 「自嘲」, 「自譬」, 「感松」, 「寓意」, 「警民」, 「感狗」, 「調鷹」 등 10수이다. 본 고는 유와의 시조 문학 전체를 조망하기에 앞서 그가 처음 유배가 지은 『관성잡록』 소재 시조를 대상으로 특질을 도출하고, 투영된 작가의 지향의식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관성잡록』 소재 시조가 지닌 특질로는 먼저 ‘연군’과 ‘우국지념’만을 노래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먼저 ‘연군’의 마음을 표현한 시조들은 연시조 「戀君」 3수와 「自嘲」, 「自譬」 등으로 이들은 모두 ‘우리 님’이라고 표현된 임금을 그리워하며 임금과의 해후에 대한 염원에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우국지념’은 다양한 대상에게 ‘경계’하는 것을 내용으로 「感松」, 「寓意」, 「警民」, 「感狗」, 「調鷹」이 해당한다. 그리고 또 다른 특질로 10수의 시조가 비교적 단기간 내에 지어졌다는 점에서 작가의 시상이 응집된 1편의 작품으로 이해한다면, 비록 유배라는 극한의 현실 속에 놓여 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자신에게 집중하여 신하로서 이상적인 존재로 변화를 꿈꾸는 회귀 의지를 표상하는 희망의 노래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유와의 시조 작품에 보이는 지향하는 의식으로는 유배를 두려워하거나 불편하게 생각하지 않았으며, 임금의 귀를 덮고 눈을 막아 속이지 않는 충직한 신하의 자세를 견지했고, 정조를 매우 훌륭한 임금으로 추앙하며 변함없는 충성을 보이고 있으며, 해배된 이후를 준비하는 긍정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유와의 『관성잡록』 소재 시조 10수는 임금을 그리워하며 변함없는 충성의 노래일 뿐 아니라, 현재의 상황을 타개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희망을 노래했다는 점에서 전형성을 뛰어넘는 진일보한 ‘충신연군지사’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a study to analyze the 10 exile-sijos published in Yuwa Kim Yi-ik's 『Kwanseongjaplok』 to reve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sciousness that the author is aiming for. Kim Ik-joon was a literary writer and bureaucrat of the Joseon Dynasty who left 60 works and one lyric work. Previous researchers analyzed his works by identifying them in terms of exile literature, but this was wrong because there was no consideration for the writer's situation.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only his early exile works. He experienced three exiles, and wrote 『Kwanseongjaplok』 in the first. He was exiled because of the crime of calumny in Yeonguijeong(a prime minister of the Joseon dynasty), but in fact, it was because he fiercely resisted or didn't obeyed the king's advice or orders. All 10 works of Yuwa, built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have titles, and the poet said that he wrote these works with a heart more sad than wail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10 works, two characteristics were found. The first is that it is a song that contains the meaning of longing for the king and the meaning of alert for various people including himself. Second, it is a song of hope that expresses the will to grow into an ideal servant by focusing on oneself despite the difficulties of exile. On the other hand, the consciousness he pursued through his Sijo works is that he did not fear or feel uncomfortable with his exile. And he extremely hated the Kimchi people who were the cause of his exile, and this confirmed his intention to emphasize his innocence and honesty. In addition, he revered King Jeongjo as a very good king, and it can be seen that he maintained an attitude to prepare for his releas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10 exile-sijos published in 『Kwanseongjaplok』 are a more advanced 'ChungsinYeongungiSa(A song that a loyal servant sang while missing the king)' than typical in that they sang hopes to overcome the present situation and prepare for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유배의 정황과 해배에 대한 희망
3. 『관성잡록』의 체재와 시조의 문학적 특질
4. 『관성잡록』 소재 시조에 나타난 지향 의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찬수(Park Chan-soo). (2022).牖窩 金履翼의 『觀城雜錄』 소재 유배시조의 특질과 지향의식. 어문연구, (), 217-242

MLA

박찬수(Park Chan-soo). "牖窩 金履翼의 『觀城雜錄』 소재 유배시조의 특질과 지향의식." 어문연구, (2022): 217-2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