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문목적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수자의 첨삭 피드백 유형 분석

이용수 265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Types of Teacher’s Feedback i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김은정(Kim Eun Jung) 한래희(Han Lae Hee) 차봉준(Cha Bong Jun) 김지학(Kim Ji Hak)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0권 4호, 231~26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기존의 첨삭 피드백 연구가 글에 나타난 오류 유형 분석, 형식 측면의 피드백 방안 등에 집중되어 있고 교수자들의 첨삭 피드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첨삭 피드백의 실상과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쓰기 교육을 오랜 기간 수행해 온 교수자들의 실제 첨삭 피드백 내용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대한 여러 교수자들의 첨삭 피드백을 받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첨삭의 대표적 유형을 두 가지로 나누어 그 특징과 장단점을 살핀 후 외국인 학생들의 쓰기 텍스트에 대해 첨삭 피드백을 할 때 유의할 점과 효과적인 첨삭 피드백을 위한 전제조건들을 탐색하는 순서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자의 첨삭 피드백의 대표적 두 유형은 질문형과 대안 제시형이라는 점, 질문형은 과정 피드백과 암시적 피드백이 맞물려 나타나고 대안 제시형은 명시적 피드백과 형식-결과 피드백의 혼용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 질문형의 경우 학습자의 수용가능성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고 대안 제시형의 경우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의 저하를 야기하지 않는 선에서 첨삭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 대면 첨삭의 가능 여부, 학급당 학생 수, 강의 시수 등이 첨삭의 방법과 수준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라는 점, 첨삭의 내용뿐만 아니라 첨삭 언어에 대한 학생의 이해 정도가 첨삭 피드백을 진행할 때 필수적 고려사항이라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noted that the existing cutting feedback study was focused on the analysis of error types and type-wise feedback measures presented in the article, and the lack of empirical studies on how the cutting feedback from the professors was being carried out specifica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ity and type of sharpening feedback under this awareness, the actual cutting feedback content of professors who have long conducted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was set as the main target of the study. Based on the analysis and analysis, two representative types of cutting were divided into two types of cutting based on the feedback from the various professors on the writing text of the learner, and the discussio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plore the points of significance when giving the cutting feedback on the writing text of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prerequisites for effective cutting feedback. The analysis found that the two representative types of the professor’s cutting feedback were question-type and alternative form, that process feedback and implicit feedback were combined, that alternative form was a mixture of explicit and formal-result feedback, that learner acceptability should be considered essential in the case of question types, and that alternative form of feedback needed to be analyzed in a line that did not cause learner’s self-indulgence. It was also found that the availability of face-to-face grinding,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the number of hours taught were the main factors determining the method and level of grinding, and that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utting language as well as the contents of the cutting was an essential consideration in advancing the cutting feedback.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3. 교수자의 첨삭 피드백 실험 설계와 유형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정(Kim Eun Jung),한래희(Han Lae Hee),차봉준(Cha Bong Jun),김지학(Kim Ji Hak). (2019).학문목적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수자의 첨삭 피드백 유형 분석. 리터러시 연구, 10 (4), 231-260

MLA

김은정(Kim Eun Jung),한래희(Han Lae Hee),차봉준(Cha Bong Jun),김지학(Kim Ji Hak). "학문목적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수자의 첨삭 피드백 유형 분석." 리터러시 연구, 10.4(2019): 231-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