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명화 희곡에 나타난 일상성 연구

이용수 132

영문명
‘Crisis of Everyday Life’ and Performance of Kim Myung-hwa’s Play - Focusing on “fist-birthday part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권미란(Kwon Mi Ran)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0권 4호, 591~61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극 「돐날」의 사실적인 무대와 사건은, 일상성을 무기로 개인을 통제하는 부조리한 사회 현실을 문제 삼는다. 부부의 평범한 일상은 사회와 가족이라는 구조 속에 개인이 상실해 온 것들로 채워진다. 그 일상성의 효과가 오랜 기간 개인의 몸에 체화되어온 사회적 통제와 억압을 관객이 낯설게 경험하게 한다. 이러한 작가의 전략과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개인의 삶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요인을 수행성의 층위에서 분석하여 관객의 의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물질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김명화 희곡에서 일상성은 개인을 규제하는 권력의 기제들(사회, 문화, 계층, 자본 등)을 실체화하는 매개체로 활용된다. 집과 가정이란 사적 영역에서 포착되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을 구체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일상화된 폭력’과 개인의 희생을 문제 삼는다. 그래서 관객과 상호작용하는 무대효과로 일상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관객은 공연의 주체로 극적 세계를 구현해가는 존재다. 그 관객의 의식변화를 가능케 하는 일상성은 극적 환상과 현실의 경계를 메우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물질성과 일상성은 김명화 희곡에 내재한 새로운 의미구조를 밝히는 데 유용한 기점이 된다.

영문 초록

Now, in the field of Korean theater, the discussion of performance is widely accepted. Accordingly, the play researchers have different views of the research as they are based on the fieldwork of performance, away from textualism. Because, when analyzing a play with performance text, you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actor’s body and the extreme behavior that is read to the audience. A play is an art genre that is embodied in a living human body. So the discussion of materiality allows us to look at the stage of the dramatic world and understand the aspect of the audience that embraces it. Therefore, the researcher wants to analyze Kim Myung-hwa’s play “first-birthday party” in a new way from a performance perspective. Materiality not only helps to specifically shape the dramatic world the audience experiences, but also provides a useful basis for revealing the internal semantic structure of text. Especially in this work, which takes issue with human anxiety and desire based on everyday life, one takes note of the materiality of the human body, which is being used as the sum of universal memories and experiences about home and family. Looking at the use of materiality associated with the human body, apart from the dramatic flow or event development, one can uncover dramatic factors or circumstanc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audience. It also helps to explore the dynamic process of thinking and the activeness of the audience, which is accompanied by actors and actresses, as well as the role of performance

목차

1. 서론
2. 관객과 공유되는 일상체험 : 집과 가족
3. 관객의 감각을 자극하는 소리의 물질성
4. 되살아난 주체의 욕망: 음식과 기억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미란(Kwon Mi Ran). (2019).김명화 희곡에 나타난 일상성 연구. 리터러시 연구, 10 (4), 591-615

MLA

권미란(Kwon Mi Ran). "김명화 희곡에 나타난 일상성 연구." 리터러시 연구, 10.4(2019): 591-6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