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성 퀴어의 성 정체성과 소설적 재현

이용수 1179

영문명
A Study on sexual identity of Male queer and novel representatio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강유진(Kang eugene)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9호, 483~50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부장제는 결혼 제도 안에서 설명될 수 없는 일체의 애정과 사랑, 관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페미니즘 소설과 퀴어 소설은 모두 강제적 이성애(compulsory heterosexuality) 바깥에 존재하는 수많은 인간의 유대를 인정하고, 개인을 우연적이고 가변적인 삶의 주체자로서 존재하도록 하는 체제 전복적인 특성을 가진다. 김봉곤과 박상영은 작가의 소수자성을 다른 메타포로 환원하지 않고 직설화법을 사용해 우리 사회에 나와 부딪힌 사례이다. 이는 한국 문단사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아주 이례적이고 모험적인 도전이다. ‘소설-읽기’가 기존 사회와 소설 양식에 대한 저항이라고 할 때 두 퀴어 작가에 보이는 독자들의 관심은 기존 소설과 구별되는 차이, 즉 당사자성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소설에서 당사자성은 1인칭 주인공 화자의 목소리를 통해서 재현된다. 그러나 퀴어 작가의 소설을 퀴어 작가의 사생활이라는 소재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은 조심스러운 부분이다. 장기적으로 작가는 사생활 노출과 소재 고갈이라는 난관에 부딪히기 쉽고, 독자는 관음적 욕망 충족에 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 퀴어 소설의 유행에서 두드러지는 특성인 오토 픽션과 당사자성의 한계를 고민하게 한다. 퀴어 소설이 현재 유행을 지나서 지속적인 영향력을 갖기 위해서는 ‘1인칭 주인공 화자’설정에서 담보되는 당사자성을 벗어나서 다른 소수자성과의 연대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atriarchy does not recognize any affection, love, or relationship that cannot be explained within the marriage system. Both feminist and queer novels recognize the bonds of numerous humans outside compulsory heterosexuality. This is an overturned system that allows an individual to exist as a subject of accidental and variable life. In our society Bong-Gon Kim and Sang-Young Park are examples of the artist’s minority character, not using other metaphors, but using a direct narrative method. When “novel-reading” is a resistance to the existing society and style of literature, readers interest in the two queer writers stems from this difference. In the novel, identity is reproduced through the voice of the first-person protagonist. However, one should be careful about approaching a novel through the circumstances of the writer’s private life; in the long term, the artist is susceptible to the challenge of running out of materials, and the reader can only satisfy a voyeuristic desire. This brings to mind the limitations of autofiction and identity, which are prominent features in the current queer novel. In order for the queer novel to go beyond the current trend and have lasting influence, it is necessary to deviate from the ‘first person narrator’ setting and then solidify with other minorities.

목차

1. 퀴어, 페미니즘, 강제적 이성애(compulsory heterosexuality)
2. 퀴어 작가의 오토 픽션(Auto fiction)과 비 일상성
3. 퀴어 소설의 당사자와 ‘당사자성’
4. 여기, 다음의 퀴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유진(Kang eugene). (2020).남성 퀴어의 성 정체성과 소설적 재현. 문화와융합, 42 (9), 483-502

MLA

강유진(Kang eugene). "남성 퀴어의 성 정체성과 소설적 재현." 문화와융합, 42.9(2020): 483-5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