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담배노래 국문시가의 문학적 변주 양상

이용수 149

영문명
The Literary Variations of Korean Poetryin Cigarette Song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하성운(Ha Seong-woo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9호, 421~45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담배의 문학적 형상화가 시대나 장르에 따라 어떠한 식으로 변주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문시가에서 담배노래의 특징적 양상들을 개괄적으로 다루었다. 가사의 경우에는 담배에 대한 환상과 이데올로기적 함의를 담아내었다. 박사형의 <남초가(南草歌)>에서 담배는 집단적 상상력과 환상이 가미되어 단순히 기호품을 넘어 불로의 기능을 갖춘 不死草의 성격을 지녔다. 대한매일신보에 실린 <연초요(煙草謠)>에서는 담배 소재를 차용하여 일제의 연초산업과 친일하는 행태에 대한 비판을 담았다. 김태욱의 <담배타령>에선 담배의 효능과 환상적인 체험묘사를 바탕으로 작자가 추구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담배의 역사를 전반적으로 서술하면서 국산 담배의 애용과 유신체제를 옹호하는 주장을 펼쳤다. 담배노래 잡가는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담바귀타령>이 20세기 초에서 후반까지 지속적으로 변이과정을 거치며 창작되었다. 이 노래는 다수의 잡가집에 수록되면서 그것의 유행과 흥행을 주도하였다. 기존의 담바귀타령에는 주요 모티프라 할 수 있는 담배가 건너온 경위, 담배 재배 과정, 흡연의 체험이나 기분과 더불어 사위삼소나 옥단춘아의 내용이 첨가되어 있었다. 그러나 광복이후 <담바귀타령>에는 주요 모티프는 계승하면서도 담배와 관련이 없는 구절들은 삭제되었다. 거기다가 의미를 확장시켜 관능적 표현으로 웃음을 유발하거나 계몽의식을 담아내기도 하였다. 또한 한시적으로 <남쵸탄(南草嘆)>과 <남녕쵸탄(南靈草嘆)>이 잡가집에 실리면서 담배의 대립적 인식이 이슈화되었다. 담배 소재 노래는 창가로도 불렸다. 그것의 노래에는 일상생활에서의 흡연문화, 그리고 절제운동으로 그것을 삼가려는 상반되는 인식이 존재하였다. 창가 <담바귀타령>은 기존의 담배노래를 패러디하여 당대 유행하던 가사를 입혀 세태를 고발하고 풍자하는 성격을 지녔다. 1920~30년대의 창가에는 저항의 의미를 담아 조선어로 된 개사가를 창작하였는데, 그것의 일환으로 담배노래에도 자신들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담배를 당시 사회운동의 하나로 꼽을 수 있는 절제운동의 소재로 활용하여 직접적으로 작품화한 경우도 더러 있었다. 이처럼 담배노래에는 작가의 경험과 현실적 삶의 조건들을 바탕으로 당대의 이데올로기를 담거나 문화적 체험에 따른 의식을 반영하였다. 게다가 세태의 고발이나 풍자, 저항의 의미를 표현하기도 했다. 담배노래가 시대나 장르를 달리하여 지속적으로 창작된 요인으로는 대중의 기호와 그것의 영향력일 것이다. 당대에 담배만큼이나 대중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친 기호품은 없었다. 그것은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마찬가지다. 토지문제와 결부되어 조선사회를 흔들어놓기도 하고, 일제강점기에는 경제적인 차원에서 연초산업이 크게 대두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담배의 확산은 우리나라에 사회·경제적으로 급속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창작자들은 변화의 물결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담배에 주목하여 그들의 이념적 입장과 경험 등을 그것에 투영하여 작품화하였다. 따라서 담배노래에는 당대의 시대상황은 물론, 변화의 과정 그리고 그들의 의식까지 다양하게 담아 문학적 성취를 이뤄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ought to explore how the literary image of tobacco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genres. Specifically, the study covered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obacco songs in general. In the case of the lyrics, the songs contain fantasies about tobacco and ideological implications. In the Ph.D.’s “Namcho-cho,” tobacco has the character of immortal grass, which combines collective imagination and fantasy with the function of immortality beyond mere symbols. The New Year’s Eve edition of the Korea Mail newspaper criticized the Japanese government’s pro-Japanese activities in borrowing tobacco materials. In Kim Tae-wook’s “Cigarette Taryeong,” he attempted to achieve the political ideology pursued by the author based on the efficacy of tobacco and fantastic experience descriptions. Describing the history of tobacco in general, he argued for the favorite use and Yushin system of domestic cigarettes. The representative work of tobacco singers, “Cambagutaryeong,” was 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variation in the early to late 20th century. The song was featured in a number of miscellaneous houses, leading to its fashion and box office success. In the existing Dambagutaryeong, the contents of son-in-law Samso or Okdan Chuna were added-alongside cigarettes, which can be used as a major motif-the process of growing cigarettes and the experience and mood of smoking. However,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the major motifs of “Dambagutaryeong” were inherited, but the passages that were not related to tobacco were deleted. On top of this, the meaning was extended to induce laughter or to express enlightenment through sensual expressions. In addition, “Namchotan” and ”Namnyeongchotan” were temporarily published in miscellaneous houses, raising the issue of the confrontational perception of tobacco. Cigarette songs were also called window songs. In the songs, there was a culture of smoking in everyday life and a contradictory perception of refraining from it as an exercise of moderation. The window parodies existing tobacco songs and uses popular lyrics to accuse and satirize the world. During the 1920s and ‘30s, the founding family of the Joseon Dynasty created a lyricist with the meaning of resistance, which indirectly expressed their intentions in tobacco songs as part of it. In some cases, tobacco was used as a subject of self-control, which was considered one of the social movements at the time. As such, tobacco songs reflect the ideology of the time or the consciousness of cultural experience based on the writer’s experience and realistic living conditions. In addition, he expressed accusations, satire, and the meaning of resistance of the world. Cigarette songs may be the public’s taste and its influence as factors that have been consistently created in different times or genres. In those days, there was no such thing as tobacco that affected the daily lives of the masses as much. It is the same at the national level. In connection with the land issue, the Joseon society was shaken, and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industry emerged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such, the spread of tobacco has brought rapid social and economic changes to our country. In response, creators made their works by projecting their ideological positions and experiences into them, paying attention to tobacco, which exerts influence on the wave of change. Therefore, tobacco songs were able to undergo literary achievement by capturing not only the situation of the times but also the process of change and consciousness.

목차

1. 문제의 소재
2. 국문시가와 담배노래의 문학적 변주 양상
3. 맺음말 -문학사적 의의와 함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성운(Ha Seong-woon). (2020).담배노래 국문시가의 문학적 변주 양상. 문화와융합, 42 (9), 421-454

MLA

하성운(Ha Seong-woon). "담배노래 국문시가의 문학적 변주 양상." 문화와융합, 42.9(2020): 421-4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