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트로트 음악의 사회적 가치에 관한 고찰 트로트 프로그램의 문화적 현상

이용수 2739

영문명
A Study on the Social Value of Trot Music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trot program: Focusing on a case analysis of the ‘Miss trot’ and ‘Mr. Trot’ program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희연(Kim Hi Yeo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9호, 557~59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트로트 음악이 국민적 정서에 영향을 주었던 시대사적 배경과 맥락을 바탕으로 현재의 사회적 배경 속에서 트로트 음악의 사회적 가치 및 문화적 현상에 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 트로트 음악의 개념 및 장르의 확장성을 분석하며, 현 시점을 통해 트로트 음악이 문화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 및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례연구에서는 <미스 트롯>, <미스터 트롯> 등 프로그램을 통해 트로트의 서바이벌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의 차별화 및 트로트 음악의 크로스 오버를 통한 장르의 확장성을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트로트 음악의 사회문화적 현상에 관하여 대중과의 공감대 형성 및 소통에 의한 소비 창출의 적용방안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수요층이 폭넓어진 트로트 시장의 현황을 분석하며, 그에 따라 나타나게 되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트로트 음악이 앞으로 대중음악을 대표할 수 있는 문화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발전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al phenomenon of trot music within the current social background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ontext in which trot music influenced national emo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ept of Korean trot music and the extensibility of the genre will be analyzed, and through this point of view, we inten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rot music on cultural emotions and the potential for future development. The case study analyzes the differentiation of Trot’s survival reality audition program through programs such as and and expands the genre through the cross-over of trot music. As a result, I would like to discuss the application of consumption creation by forming a consensus with the public and communicating about the socio-cultural phenomenon of trot music.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trot market with a wider demand base, and examining the aspects that appear accordingly, we intend to propose a progressive way to develop trot music into a cultural industry that can represent popular music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문화의 흐름에 의한 트로트 음악의 변화
3. ‘미스트롯’, ‘미스터트롯’ 오디션 프로그램 사례 분석
4. 사회문화 환경에 의한 트로트 음악의 확장성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연(Kim Hi Yeon). (2020).트로트 음악의 사회적 가치에 관한 고찰 트로트 프로그램의 문화적 현상. 문화와융합, 42 (9), 557-590

MLA

김희연(Kim Hi Yeon). "트로트 음악의 사회적 가치에 관한 고찰 트로트 프로그램의 문화적 현상." 문화와융합, 42.9(2020): 557-5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