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사량의 조선어 작품 『지기미』와 일본어 작품 『벌레』의 개작 과정에 관한 고찰

이용수 121

영문명
The revision process of Kim Saryang’s bilingual novels “Chigimi” (Korean) and “Mushi” (Japanese): Investigating representational differences of the Korean migrant laborers’ community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다카하시 아즈사(高橋梓)(TAKAHASHI Azusa)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2집, 735~777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김사량(1914~1950?)은 1939년부터 1942년 초까지 일본 문예지에 많은 일본어 작품을 발표한 ‘일본어 작가’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선행연구는 1941년부터 1942년 사이의 김사량의 작품이 대표작 빛 속으로 와 다른 제재를 다루었기 때문에 이 시기의 작품은 “민족주의 작가”의 “후퇴”로 평가하였다. 본고는 이 시기 김사량의 창작을 이중언어 사이에서의 모색으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조선인 이주 노동자들의 집단 거주지를 그린 조선어 작품 『지기미』(『삼천리』, 1941.4)와 일본어 작품『벌레(蟲)』(『신조(新潮)』, 1941.7)를 비교ㆍ 검토하여 그 차이에 주목하였다. 두 작품을 비교해 보면 조선어 작품 『지기미』에만 등장하는 부분과 일본어 작품 『벌레』에 가필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조선어 작품 『지기미』는 일본에서 “고독”을 느끼는 화자에게 조선인 이주 노동자의 집단 거주지는 일본과 다른 인간관계를 만들 수 있는 공간이었다. 조선어 작품에서는 집단 거주지의 공간적인 특징에 대한 묘사가 두드러지며, 집단 거주지는 “지기미”라는 중얼거림처럼 “무슨 의미인지는” 모르는 것도 존재할 수 있는 곳이었다. 반면 일본어 작품 『벌레』에 가필된 부분은, 조선인 집단 거주지가 “내지”와 다른 인간관계가 가능한 “별세계”로서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특히 “알라”, “메카”, “메디나” 등의 표현에서 볼 수 있듯, “별세계”로서의 조선인 집단 거주지는 재일조선인의 고유한 문화가 존재하는 곳으로 제시된다. 조선어 작품과 일본어 작품의 차이는 김사량이 조선인의 고유한 문화를 공유하는 집단 거주지라는 제재로부터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였던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김사량의 이중언어 창작 과정에 유의한다면, 같은 시기 김사량의 다른 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도 가능할 것이다.

영문 초록

Kim Saryang (1914-1950?) was known as a ‘Japanese autho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entered the Japanese literary scene with the publication of “Hikari no naka ni (Into the light)” in the journal Bungeishuto (October 1939), a piece that would subsequently be nominated for the Akutagawa Prize. Until 1942, Kim Saryang wrote numerous novels to be published in Japanese magazines. Generally, he is regarded as a ‘nationalist writer’ due to the fact that “Hikari no naka ni” describes the Korean people’s dilemma of assimilation. Since his novels that have been written after 1941 do not focus on the problem of assimilation anymore, Kim Saryang is not considered a ‘nationalist writer’ in relation to his later works. This article explores the creation process of Kim Saryang’s novels by focusing on his Korean-language “Chigimi” (Samchully, April 1941) and “Mushi” (Shincho, July 1941), written in Japanese. “Chigimi” and “Mushi”, two texts that have been written in Korean and Japanese, respectively, both deal with the Korean migrant laborers’ community. However, by comparing the two pieces, it becomes apparent that they represent the Korean migrant laborers’ community quite differently and due to extensive revisions, the Japanese text’s characteristics differ greatly from its Korean counterpart. Firstly, “Chigimi”, written in Korean, does not focus on the changes in the narrator’s feeling of ‘loneliness’ when he joins the Korean migrant laborers’ community. It is also characteristic that “Chigimi” describ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prefabricated bunkhouses in detail. On the other hand, “Mushi”, written in Japanese, focuses on the easing of the narrator’s ‘loneliness’ and descriptions of the Korean migrant laborers’ everyday lives. Here, the Korean migrant laborers’ community is presented as a ‘different world’ where people can share Korean culture. Moreover, “Mushi” refers to the Korean migrant laborers’ community as the Muslim holy places ‘Mecca’ and ‘Medina’, thus emphasizing the impression of this community as a ‘different world’ within Japan that cannot be fully subsumed into Japanese culture. Consequent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novels reveal the formation of Kim Saryang’s interest in the Korean migrant laborers’ community as a place where people could share Korean culture. Focusing on Kim Saryang’s interest in the Korean migrant laborers’ community thus enables us to cast a new light on Kim’s novels that were published after 1941 and reevaluate his position.

목차

1. 머리말
2. 선행연구의 검토
3. 두 작품의 차이
4. 조선인에게 집단 거주지가 가지는 의미 : 조선어 작품 『지기미』
5. “별세계(別世界)”로서의 조선인 집단 거주지에서 공유되는 것: 일본어 작품 『벌레』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다카하시 아즈사(高橋梓)(TAKAHASHI Azusa). (2019).김사량의 조선어 작품 『지기미』와 일본어 작품 『벌레』의 개작 과정에 관한 고찰. 구보학보, 22 , 735-777

MLA

다카하시 아즈사(高橋梓)(TAKAHASHI Azusa). "김사량의 조선어 작품 『지기미』와 일본어 작품 『벌레』의 개작 과정에 관한 고찰." 구보학보, 22.(2019): 735-7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