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사회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조절효과
이용수 23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노년학회
- 저자명
- 주수산나 최봄이
- 간행물 정보
- 『한국노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17년 한국노인과학학술대회, 203~203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03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정신건강 지표인 우울감에 대하여 개인적 특성과 지역적 특성 간의 상호작용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기능적 제한 수준을 반영하는 일상생활수행능력(ADL)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의 재가노인복지시설이 조절하는지를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고령화연구패널 5차(2014년)자료와 지역사회 재가노인복지시설 수에 대한 보건복지부 현황 자료(2014)를 결합하여 개인수준(수준1)과 지역수준(수준2)의 다층자료를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령화연구패널 5차 자료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중 주요변수에 결측이 없는 4,139명(여 2,386명, 남 1,753명)이다. 종속변수는 CES-D 10개 문항(Boston form)으로 측정된 우울증상이다.
주요 독립변수는 개인수준의 ADL과 IADL이며, 지역수준의 조절변수는 재가노인복지시설 수와 노인인구 대비 재가노인복지시설 비율이다. 위계적 자료의 구조적 특성을 통계모형에 반영하기 위해 STATA 13.0을 이용하여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ADL과 IADL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사회의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수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DL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재가노인복지시설의 비율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즉, 노인인구 1만명 당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수가 많은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일수록 ADL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ADL 제한 수준이 높을수록 노인들은 더 우울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IADL과 재가노인복지시설 비율의 상호작용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일상생활수행과 관련된 개입 서비스를 지역사회의 재가노인복지시설을 통해 전달하는 것이 노인의 우울감 완화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 결과는 재가노인복지시설이 지역사회 노인의 수요에 맞추어 충분히 제공될 때 복지제도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Measuring Care Needs of Long-term Home Care Recipients
-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이상지질혈증의 관계
- 액티브 시니어 여성들의 여가만족, 스트레스 관련 성장 및 행복감의 관계
- Fragility Fracture and Risk of Entry into Long-Term Care in older adults: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enior(NHIS-Senior) sample cohort
-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on Mortality Risk among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in Korea
- 남성노인의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 Farilty/Sarcopenia의 Biomarker
- Homo Eruditio: 백세시대 생존과 공존의 노년교육
- 병원/요양시설 환자 대상의 Frailty평가 방법과 임상적 활용
- 지역사회 노인을 위한 우울자기관리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Quality of Life, Malnutri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Preoperative Elderly Participants with Periampullary Disease
- Contribution of glutamate decarboxylase 67 to compensatory insulin secretion in aged pancreatic islets
- 독거노인 사회적 관계 활성화 방안 “독거노인친구만들기 사업”
- Calsenilin regulates RhoA signaling and neurite outgrowth
- A Novel mechanism of ultraviolet-induced skin damage protection by visible red light: Enhancement of GADD45A-mediated DNA repair activity
- Importance of immune response and metabolism in human aging
- ER stress-mediated FoxO1 induces impaired insulin signaling and hepatic steatosis in aging process
- 회상중심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요양시설거주 치매 노인의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만성질환·비공식 사회관계와 우울
- Multiple biomarkers for molecular diagnosis of sarcopenia
- A novel synthetic compound, (Z)-5-(3-hydroxy-4-methoxybenzylidene)-2-iminothiazolidin-4-one (MHY773) inhibit mushroom tyrosinase
- 실행연구 방법을 적용한 노인복지관 당뇨병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과정과 평가
- 장기요양서비스 시장과 서비스 질에 관한 연구-재가서비스 중심으로
-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사회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조절효과
- 가족 및 고령친화환경 요인과 가족 내 세대교류의 관계
- 노인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의 적극성과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노인 신체건강을 위한 기공(氣功) 프로그램 효과성 메타분석
- 고령사회에서 노인의 연령과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에 대한 고찰
- 청각피질유발반응을 이용한 중추청각시스템의 노화반응 연구
- FOXO3a activation by purple corn extract protects from cigarette smoke-induced DNA damage in human subject
- Aronia berry ( Aronia melanocarpa ) increases the lifespan in Drosophila melanogaster
- Genotoxic stress/p53-induced DNAJB9 inhibits the pro-apoptotic function of p53
- Induction of hepatic insulin resistance by IL-1β and inflammation via TF/PAR2 pathway
- Probiotic Lactobacillus reuteri extends the lifespan of Drosophila melanogaster
- Intestinal microbes shorten host lifespan through increased intestinal permeability in Drosophila melanogaster
- Controlling aging: Restoration of cellular senescence by modulating activity of protein kinases
- Roles of senescence marker protein 30 on the nervous system
- Genome-wide screening to find potential pro-longevity gut microbes using Caenorhabditis elegans / Escherichia coli system
- Mediation Effects of Subjective 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Life and Resilience
- 고령시대 ‘대응’기제로서의 다문화 논의
- 중노년기 부부의 손자녀 돌봄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노인의 사망 장소 관련 요인
- 중년부부의 성역할태도 유사성이 남편과 아내의 부부갈등 수준에 미치는 영향
- Malnutritional Status and It s Related Factors of Demented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중·노년의 직무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녀상실을 경험한 중·노년의 우울감 변화 유형 분류 및 관련요인
- 주관적 건강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Integrative approach for understanding the biological networks of aging and cancer in terms of DNA repair mechanism with application of genomic big-data
- Crosstalk between cellular senescence and selective autophagy
- Methionine and aging
- Genetic approaches to improve aging-related memory impairment in fruit flies
- Protein modification in disease pathogenesis
- MiR-500-3p and miR-770-3p associated with the serum exosome
- Minocycline treatment enhances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and extends lifespan in Drosophila via FOXO
- Geographic Disparities in Unmet Need for Mental Health Care among Racially/Ethnically Diverse Adults with Psychiatric Disorders
- 신체적 노쇠와 인지 노쇠의 중요성
- Therapeutic approach with a novel PPAR α/γ dual agonist in Parkinson’s disease
- Application of CRISPR-Cas9 in modeling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telomere aging
-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바라 본 노인연령기준
- Protective effect of visible red light (660nm) against ultraviolet-induced skin damage
- 혼자 사는 노인의 현황과 특성
- 혼자 사는 노인의 치매 관리
- 영국의 노인교육
- 비혼과 사별 노인에서 우울증의 특징과 극복방안
- 노화연구 관점에서 바라 본 노인연령기준
- 치매이해능력 척도 개발 연구
- 여가복지시설 이용노인의 여가관련 특성이 행복감과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 장기요양 진입 연령의 소득수준별 차이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apartment complexes for dementia prevention
- 노인복지실천현장에서 노인의 시민성과 주체성 찾기
- 노인의 체육참여 관련 요인 분석
- 중‧고령자의 주관적 노후인식과 경제활동 참여의 관계
- Mitochondria and lifespan of budding yeast
- 백세시대 노인세대에 관한 문화기술지
- Status and it s related factors of Total Body Water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 시니어 영어학습자의 요구분석에 따른 프로세스 드라마 (Process drama) 영어교육 프로그램 연구
- Human dermal stem/progenitor cell-derived conditioned medium enhance moisturizing of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 노후준비교육관련 연구의 현황 및 발전방향
- 혼자 사는 노인과 불안, 건강염려증
- 경제학적 관점에서 바라 본 노인연령기준
- 노인연령기준
- 노인정신의학 관점에서 바라 본 노인연령기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 유형별 가구 내 자살생각 군집화 영향요인 분석
- 디지털정보화 접근수준이 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배움터 참여에 따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의 지원의사결정에 대한 좋은 실천은 가능한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