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 탐색

이용수 183

영문명
Exploration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a Teacher in Science Classes with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변문경(Byun Moon kyoung) 서향희(Seo Hyang Hee) 진영은(Chin Young E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7호, 327~35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7.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 과학교과의 2단원 ‘물질의 구성’을 중심으로 스토 리텔링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탐색 함으로써 효율적인 스토리텔링 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각매개의 부재(不在)상황은 학생들의 구체적 상상을 어렵게 하는 것으로 서 지식의 구조화 과정에 대한 어려움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또한 서로 다른 수준의 과학적 담화, 부적절한 은유(metaphor), 수업 안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대한 이해의 부족은 커머그니티브(commognitive) 갈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소통의 걸림돌을 의미하였다. 과학적 개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는 상황에서 교과 간 통합적 플 롯의 구성은 학생들의 경험을 정리해 주는 기본 구조의 부재를 의미는 것이며, 내러 티브의 토대로 작용하여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기억의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스 토리텔링 과학 수업의 평가 자료 부족, 스토리텔링 수업에 대한 동료 과학 교사와 학부모들의 인식 부족은 산출물 평가 기준의 부재로 인한 평가의 어려움을 의미하 였다. 이러한 교사의 어려움을 토대로 소양지향의 과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로서 중 학교 과학교과에서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교사 중심의 실천적 개혁이 지속적으로 필 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to educational scenes in the science study in the qualitative way by exploring difficulties that are experienced by teachers in science classes with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Mr. Kim, a science teacher from Geumran Middle School, which is located in Gyeonggi-do, and 6 students (3 male and 3 female students) in the scientific creativity class from the same school. We carried out a total of 28 sessions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deep interviews including 3 preliminary observation sessions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13. As a result of the study, included the difficulty in helping students’ specific imaginations due to lack of visual media, and the difficulty in imagination means the difficulty in perception and at the same time, in the capability of structuring, which is a general ability of mind. Also, scientific discourses at different levels, inadequate metaphors,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used in the discourses turn up as commognitive conflicts, and hence mean ‘hindrance to communication.’In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no basic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the composition of an integrated plot among subjects means the absence of a basic structure, and works as the basis of narratives so that it could not provide students with a significant structure of memories. Included the difficulty due to lack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roducts of storytelling science classes and with lack of recognition of storytelling classes by fellow science teachers and parents causes difficulties in assessment. Based on such difficulties among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approaches and efforts are necessary which apply storytelling to the middle school science subject for the ultimate purpose of aptitude-oriented scienc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스토리텔링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문경(Byun Moon kyoung),서향희(Seo Hyang Hee),진영은(Chin Young Eun). (2015).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 (7), 327-356

MLA

변문경(Byun Moon kyoung),서향희(Seo Hyang Hee),진영은(Chin Young Eun).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2015): 327-3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