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09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화학 부분 성취기준 비교 분석

이용수 973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Chemistry part in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s for Science based on Bloom’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성민(Seong-Min Lee) 천주영(Joo-Young Chun) 홍훈기(Hun-Gi H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8호, 261~28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융합과학, 통합과학 중 화학 부분과 화학 1, 2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성취기준을 분석하기 전 성취기준 내에서 화학 부분을 추출한 뒤, 복문으로 진술된 성취기준은 단문으로 바꾸어 분석하였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131개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122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9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모두 ‘개념적 지식’과 ‘이해하다’ 형태로 진술된 성취기준이 가장 많았고 ‘메타인지 지식’은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2015 개정 과학 과 교육과정의 핵심인 ‘기능’을 포함한 성취기준 진술방식이 기존의 진술방식과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줄곧 같은 형태로 진술되었던 성취기 준의 구조와 조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부족한 ‘메타인지 지식’을 늘려야 한다. 그리고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강조하고 있는 ‘기능’의 의미가 모호하므로 교육주체에게 ‘기능’의 정의와 ‘기능이 포함된 성취기준 진술’의 차별성을 명확하게 전달하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성취기준의 교육적 의도를 피력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hemistry part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middle school Science, Convergence Science, Integrated Science, Chemistry Ⅰ and Ⅱ in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efore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chemical parts were extracted from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stated in the compplex sentence were converted into short sentences. The results of analysis on 131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122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re as follows. Achievement standards stated in forms of ‘Conceptu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2009 and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meta-cognitive knowledge’ has not been found. The way how achievement standards including ‘skills’ are stated was not different with the original statements. Therefore, the proposals for the improvements a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tructure and combin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that have been stated in the same form since the revision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meta-cognitive knowledge’ should be increased. Justifying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revealing educational intent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necessary. These objectives can be accomplished by clearly conveying the definition of ‘skills’ and the differentiated points of achievement standards that are stated in forms of ‘skills’ to educational participa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민(Seong-Min Lee),천주영(Joo-Young Chun),홍훈기(Hun-Gi Hong). (2017).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09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화학 부분 성취기준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8), 261-289

MLA

이성민(Seong-Min Lee),천주영(Joo-Young Chun),홍훈기(Hun-Gi Hong).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09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화학 부분 성취기준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8(2017): 261-2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