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예비교사의 지각된 스포츠문화 분석

이용수 82

영문명
Analysis of perceived Sports culture of Elementary preschool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양웅비(Yang, Woong-Bi) 김현우(Kim, Hyun-Wo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8호, 49~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공교육을 통하여 지각된 스포츠문화를 분석하여 학생 맞춤형 체육교육과정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광역시 2학년 교대생을 모집단으로 하였고 체육실기Ⅰ을 수강하는 200명을 대상으로 무선표집하였다. 조사일정은 2016년 9월 19일부터 10월 30일까지 설문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검정, 일원변량분석, 공변량 분석을 활용하였다. 초등예비교사의 지각된 스포츠문화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경기문화, 정신문화, 도전문화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고 거주지역별로는 시설문 화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스포츠 활동 참여정도와 문화의 차이에서는 시설문화를 제외한 5가지 문화요인(경기, 정신, 축제, 미디어, 도전)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포츠 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스포츠문화의 차이는 성별과 참여정도는 경기문화에 영향을, 생활환경, 참여정도, 참여유무는 정신문화에 영향을, 성별, 참여정도, 참여유무는 축제문화에 영향을. 참여정도와 참여유무는 도전문화에 영향을, 출신지역은 시설문화에만 영향을 미쳤고 미디어 문화는 어떠한 변인에서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y analyzing perceived sports culture through elementary school pre - service teachers public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2nd grade students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20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ractical skill Ⅰ were random sampled. The survey w as conducted from September 19, 2016 to October 30, 2016.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one - way ANOVA, and covaria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ender, boys were more a ware than girls in sports culture, mental culture and challenging culture, and festival culture, media culture, and facility culture showed no difference. Second, the difference of sport culture by residence area was found only in facility culture, and the difference was not found in other factors. Third,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 activities and sports culture were found to be different in game culture, mental culture, festival culture, media culture, and challenge culture excluding facility culture. Fourth, the difference of sports culture participation and sports culture is as follows: sex culture, participation level, mental culture, living environment, participation degree, participation status, festival culture, sex, participation level, And the presence of the participant, the institutional culture was influenced by the native area and the media culture did not affect any variabl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웅비(Yang, Woong-Bi),김현우(Kim, Hyun-Woo). (2017).초등예비교사의 지각된 스포츠문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8), 49-70

MLA

양웅비(Yang, Woong-Bi),김현우(Kim, Hyun-Woo). "초등예비교사의 지각된 스포츠문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8(2017): 49-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