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행복감 및 행복과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

이용수 863

영문명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Happiness and Education for Happiness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이승은(Seung-eun Lee) 서현(Hyun Seo)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9권 제4호, 333~35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주관적 행복감 및 행복과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을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행복교육을 실시할 수 있고, 교사 자신이 행복한 수업을 실행할 수 있는 교사교육의 방향성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전남지역의 4년제 유아교육학과 학생 149명이었고, 주관적 행복감과 행복 및 행복교육 관련 인식을 포함한 설문조사(총 56문항)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등의 통계분석과 내용분석으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지수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 사회성, 성취지향성 등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현재 행복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가족’이며, 미래의 행복을 위해서 가장 필요한 요인은 ‘긍정적인 마음', 현재 자신을 가장 불행하게 하는 요인은 등록금 아르바이트로 인한 부담감으로 ‘경제력’을 꼽았다. 보편적인 행복에 관련된 요인도 ‘경제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행복교육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연구대상의 절반이상이(57%) 유아를 대상으로 한 행복교육이 가능하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행복교육의 개념에 대한 인식 분석결과,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유아의 긍정적 관계’, ‘흥미, 재미 등 즐거운 정서를 느끼도록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행복의 수단 으로서의 교육’이나 ‘성공에 뒤따르는 것’은 행복교육에 관한 오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행복을 가르치는 것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양한 활동 및 교육과정을 통해 유아들을 행복하게 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전문적이고 체계화된 지식체계로 발전시켜 올바른 행복교육을 할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o identif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happiness and education for happiness. Data was collected from 149 college students of early childhood department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using a 56-item inventory composed of 'life satisfaction', 'campus life satisfaction', 'positive affectivity & negative affectivity', and 'perception of happiness and education for happiness'.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content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result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Seco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famil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resent happiness, and 'positive mind'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future happiness. Whereas, 'economic power' was strong signs of unhappy, and it also was related factor in universal happiness. Third, more than half(57%) of the subjects recognized the need and possibility of education for happiness. Fourth,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teacher-child positive relationship', 'feeling positive emotions' were important in concept and contents of education for happiness, and they regard 'education as a means for happiness', or 'happiness in result of great success' as misconception of education for happines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은(Seung-eun Lee),서현(Hyun Seo). (2015).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행복감 및 행복과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 (4), 333-356

MLA

이승은(Seung-eun Lee),서현(Hyun Seo).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행복감 및 행복과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2015): 333-3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