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현장교육의 쟁점과 과제: 현장교육 유형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69

영문명
Trends and Issues of Field Learning in University, Focusing on the Categorization of Field Learning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박철우(Cheol-Woo Park) 이영민(Young-Min Lee) 정동열(Dong-Yul Jung)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9권 1호, 135~143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1.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산업추세를 반영하기 위하여 도입된 대학교육과정에서의 현장교육을 유형화하고 현황을 파악하며, 제도적인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현장교육은 전통적인 대학교육, 즉, 강의실에서 이뤄지는 교수-학습자간 전달방식 교육과 차별화하여 최근 산업추세, 기업의 전문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 및 도제교육을 의미한다. 기존에도 현장교육과 유사한 형태의 개념이나 용어들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산업현장의 요구 반영에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현장교육의 유형화는 공간적 측면과 학생의 입학경로를 고려하여 구분하고 있다. 공간적 측면에서 학교 밖 기업에서의 교육, 기업환경을 대학 내 설치하여 대체 학습할 수 있는 교육 등으로 구분하여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학생의 입학경로 측면에서는 대학입시의 유형을 바탕으로 일반 정규과정(수능입학생), 학습근로자, 재직자 등으로 분류하여 교육과정이 현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일반 정규과정 중심으로 현황을 파악한다. 이를 기반으로 도출된 현장교육 사례의 현황과 문제점, 제도적 여건 등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현장교육 본연의 의미에 부합하는 제도를 제안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field learning and made categorizations of field learning. The concept of field learning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university education, that is, classroom-based learning. Many keywords and concepts that have to do with field learning have been used in variety ways. But, these terms have lack of reflecting the needs of industries. In This method is developed based on the needs of industry and the trends of industry and corporations. This method includes the experiential learning and apprenticeship education. The categorization falls into two by two scheme: The place where the field learning takes place and entrance paths of students. By place, field learning can be categorized as education out of school, school-based education by setting up the industry and corporation environment. By entrance paths, general university entrance exam paths, learning employee paths, employee paths and etc. But, mainly, we investigated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and problems of this paths. Finally, some policies are suggested for future direction.

목차

1. 서론
2. 현장교육의 운영 현황
3. 현장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철우(Cheol-Woo Park),이영민(Young-Min Lee),정동열(Dong-Yul Jung). (2019).대학 현장교육의 쟁점과 과제: 현장교육 유형화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 (1), 135-143

MLA

박철우(Cheol-Woo Park),이영민(Young-Min Lee),정동열(Dong-Yul Jung). "대학 현장교육의 쟁점과 과제: 현장교육 유형화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1(2019): 135-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