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영어교육 정책과 세계화

이용수 507

영문명
English Language Policies in Korea and Globalization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장복명(Bok-Myung Chang)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9권 1호, 699~707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1.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세계화가 강조되기 시작한 1990년대 이후의 한국의 영어교육정책의 변화 과정을 영어과 교육과정의 개혁내용과 교육과정을 기초로 출판된 영어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한국 영어교육 정책의 세계화 지향성을 평가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러한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연구 목표를 설정한다. 첫째는 세계화 교육 정책이 도입된 1990년대 이후의 영어교육의 정책 변화를 교육과정의 변천 내용을 통하여 분석한다(Chang, 1996, 1999, 2001, 2009; Kwon, 2000). 둘째는 제6차 교육과정 시기 및 제7차 교육과정 시기(Yim, 2007), 그리고 개정 교육과정 시기(2009년, 2015년)에 출판된 영어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한국의 영어교육 정책과 세계화 전략의 연관성을 입증한다. 연구 방법은 영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과 그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집필된 영어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과서 분석은 영어교과서의 틀을 구성하는 교수요목 설계와 교과서의 주제 구성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영어교육 정책은 1990년대를 기점으로 세계화 시대에 경쟁력을 구비한 인재를 양성한다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절하게 개편되어져 왔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특별히 1990년대를 기점으로 적용된 제6차 교육과정은 의사소통중심의 교수요목을 채택하여 문법-구조중심 교수요목을 채택한 이전의 교육과정 시기와 질적인 차이를 초래했으며, 제7차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집필 기준을 적용하여 출판된 영어교과서는 주제를 채택한 측면에서 외국문화를 도입하고 또 한국의 문화를 세계에 소개하고 한국의 민족적 자긍심을 고무시키는 주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영어교육 정책이 세계화시대의 요구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적절하게 개편되어 졌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historically survey the development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policies in Korea in order to prove that English education policies in Korea have developed to cultivate Korean students who are capable in a globalized world.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purposes: first,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national curriculum of English from the 6th national curriculum because English language policies of Korea have emphasized to cultivat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Korean students since 1990s. Second, this study analysed English textbooks published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revised curriculum(in 2009, and 2015)). Also this study adopted two criterion of textbook analysis: the one is the syllabus design analysis and the other is the thematic construction analysis for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is study can reveal that the innovations of English education policies from the 1990s after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s were reformed to direct English education in Korea appropriate for the globalized world. From the analytic results of English textbooks published after 1990s, we can conclude that the policies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hav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cultivating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and national identities of Korean learners in order to achieve the aims of English language polices; to raise the young generation who are able to meet the needs of the globalized world.

목차

1. 서론
2.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영어교육 정책 변화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복명(Bok-Myung Chang). (2019).한국의 영어교육 정책과 세계화.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 (1), 699-707

MLA

장복명(Bok-Myung Chang). "한국의 영어교육 정책과 세계화."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1(2019): 699-7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