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포페니아(Apophenia) 광고표현의 감정반응(PAD) 요인이 광고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Emotional Responses(PAD) Factors in Apophenia Advertising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노묵(Mo Lu) 양재범(Jae Bum Yang)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1(통권 34권), 386~402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아포페니아(Apophenia)는 심리적 현상으로, 사람이 무작위이거나 관련이 없는 사물 사이에서 어떤 의미, 패턴 또는 연관성을 보는 경향을 말한다. 아포페니아는 광고 이미지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아 본문은 문헌 리뷰와 사례 연구를 통해 아포페니아 광고 관련 용어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자극-유기-반응(S-O-R) 프레임워크와 즐거움, 환기, 지배(PAD) 감정 모델을 바탕으로 시각디자인과 심리학의 관점에서 아포페니아 광고가 어떻게 감정 모델을 통해 광고 태도와 광고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였다. 415부의 설문 응답의 분석과 감정 모델을 통해 아포페니아 광고의 6가지 시각화 유형이 광고 태도와 광고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감정 모델에서 아포페니아 광고는 즐거움과 각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즐거움과 지배는 광고 기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관지으려는 인지현상의 아포페니아 광고표현이 소비자 감정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적인 광고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실용적인 제안에 중요한 의미를 찾고자 한다.

영문 초록

Apophenia is a psychological phenomenon where individuals perceive meaning or patterns between random or unrelated objects. While commonly used in advertising imagery, research on apophenia in advertising is limited. This paper defines apophenia advertising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exploring its influence on advertising attitude and recall using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framework and the Pleasure-Arousal-Dominance (PAD) emotional model from design and psychology perspectives. Analyzing 415 survey responses, the study examines how six visual types of apophenia advertising affect advertising attitude and recall. The emotional model shows that apophenia advertising significantly enhances pleasure and arousal, with pleasure and dominance notably influencing recall.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pophenia advertising on consumer emotions and provide practical insights for effective advertising communic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아포페니아가 표현된 광고
4. 연구 설계
5. 분석결과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묵(Mo Lu),양재범(Jae Bum Yang). (2025).아포페니아(Apophenia) 광고표현의 감정반응(PAD) 요인이 광고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리서치, 10 (1), 386-402

MLA

노묵(Mo Lu),양재범(Jae Bum Yang). "아포페니아(Apophenia) 광고표현의 감정반응(PAD) 요인이 광고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리서치, 10.1(2025): 386-4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