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Corp 기업의 패션산업 공급망 내 지역사회 발전 전략 - 의류·텍스타일 기업의 Impact Business Models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Community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Fashion Supply Chain of B-Corp Enterprises : Analysis of Impact Business Models in Apparel and Textile Companie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이은옥(Eun Oak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1(통권 34권), 40~51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패션산업은 글로벌 공급망의 복잡성과 환경·사회적 문제로 인해 지속 가능한 경영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윤리적 생산과 투명한 공급망을 요구하는 소비자 인식 변화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성 확보가 필수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B-Corp은 기업이 사회적 가치를 입증하는 중요한 인증으로 자리잡았으며, 의류·텍스타일 기업들 또한 이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B-Corp 인증을 받은 전 세계의류·텍스타일 기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발전 전략을 분석하고, 이들이 채택한 Impact Business Models의 유형과 사례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들은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공급망 빈곤 완화, 지역 경제 발전, 기부 중심 설계와 같은 Impact Business Models를 통해 경제적·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는 한국 의류·텍스타일 기업들이 B-Corp 인증을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fashion industry faces sustainability challenges due to complex global supply chains and environmental and social issues, making sustainable management essential. B-Corp certification has emerged as a key tool for fashion and textile companies to demonstrate their commitment to these values and enhance competitiveness by ensuring ethical production and transparency. This study analyzes the community development strategies of B-Corp-certified companies, highlighting key Impact Business Models such as supply chain poverty alleviation, local economic development and design to give.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fashion companies can leverage B-Corp certification to build sustainable models and strengthen global competitiveness.
목차
1. 서론
2. B-Corp 인증과 Impact Business Models
3. B-Corp 기업의 지역사회 평가와 특성 분석
4. 지역사회 Impact Business Models의 사례 분석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Data-Driven Study on Spatial Network of Learning Facilities in Urban Areas : Focusing on Centrality and Educational Disparity
- AI 기반 이미지 생성 기술이 디자인 창작과정에 미치는 영향 -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s) 디자인을 중심으로
- AI 기반 감성적 사운드 디자인 연구 - 감성 데이터와 AI 학습 모델의 융합 가능성 분석
- 2030세대의 소비특성을 고려한 굿즈의 소비자 인식 연구
-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중국 Z세대 여성들의 한푸 체험의도에 관한 연구 - 애국심을 매개효과로
- 고령자 니즈에 기반한 소셜미디어 앱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용성 연구 - 카카오톡 소셜미디어 앱을 중심으로
- 공공프로젝트 분석을 통한 발주방식의 효율화 방향성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언론사의 숏폼 비디오 콘텐츠 디자인 비교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전통표준색에 대한 비코팅 팬톤 호환색 표분석
- 내소사 <영산회괘불도> 디자인 구성과 표현방법 사례연구
- 농산어촌 개발사업 분석을 통한 공공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 농산어촌의 공간디자인 정책 연계를 위한 프로세스 협력방안 연구
-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공공미술 사례 연구 - 서울시 홍제유연, 도킹서울, SAM932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디자인 아이덴티티 차별화를 위한 아이코닉 디자인 요소 분석 연구 - 비케이아이디(BKID) 제품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디지털 읽기 기반 교육 환경을 위한 어시스턴트 시스템 디자인 - 멀티 모달 데이터 기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및 휴먼로봇 인터랙션(HRI) 비교 분석
- 디자인에 있어서 디지로그적 혼성화 기법에 대한 일 고찰
- 디지털 헬스케어 뷰티테크 서비스의 사용자경험 인사이트 도출 - 뷰티테크 서비스의 피부 진단 및 관리 기능 중심으로
- 매슬로우의 욕구단계로 접근한 브랜드 심볼 유형별 사례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MZ세대 아트 컬렉터의 자기표현 연구 - 모바일 APP 내의 온라인 컬렉션 전시 서비스를 통한 자기 표현 가능성
- 베이킹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 체험이 브랜드 충성도 및 구매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베이킹 브랜드 '하오리라이(好利来)'를 중심으로
- 브랜드 확장 시 제품 범주에 따른 확장 브랜드 태도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자인 평가 방법론 제안 - ChatGPT, Midjourney를 중심으로
- 순환도시 전략 속 공공디자인의 적용에 대한 연구 - 국외 전략을 중심으로
- 실물연계자산(RWA) NFT 미술품 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패키지 디자인의 구성요소에 대한 소비자의 주의력 연구 - 중국 판매 상위 5개 브랜드의 세제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 에로티시즘 광고의 시각 표현 고찰 - 자크 라캉의 무의식과 데페이즈망 기법을 중심으로
- ‘이오 밍 페이 (Ieoh Ming Pei) 건축디자인’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 표현특성 연구 - 1978년 이후 준공된 건축물을 중심으로
- 이미지 기반 캡차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
- 인공지능 스피커의 음성정보 시각 피드백 연구
- 인공지능 시대 입시생들의 창의력 교육 및 미래 역량 개발 방향 연구 - 웹툰·애니메이션 전공 입시생 대상으로
- 전통 문화 관점에서 분석한 중국 식품 브랜드의 시각적 특성
- 패키지 디자인에서 디자인 특성이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 삼성퇴 박물관 기념품 중심으로
- 화물선의 선상 여가 활동 협소 공간 디자인 방법 연구 - 가상현실(VR)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공연 요소가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관람객의 공연경험 중심으로
- B-Corp 기업의 패션산업 공급망 내 지역사회 발전 전략 - 의류·텍스타일 기업의 Impact Business Models 분석
- 계절 변화에 따른 립스틱 구매요소가 립스틱 색상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담배 패키지디자인의 부정적 시각표현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 형성에 미치는 역할
-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지털 매체 인터페이스 특성 연구
- 모리빌딩컴퍼니의 프로젝트에서 나타난 공생도시 특성 연구
- 생성디자인 방법론의 비교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파라메트릭, 위상최적화 및 생성형 AI 접근법을 중심으로
- 아포페니아(Apophenia) 광고표현의 감정반응(PAD) 요인이 광고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 올바른 공유 자전거 주차 행동 유도 디자인 연구 - 캠퍼스 공유 전기자전거 주차 구역 디자인을 중심으로
- 자연모방에 기반한 현대건축의 바이오미미크리 특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