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패키지 디자인의 구성요소에 대한 소비자의 주의력 연구 - 중국 판매 상위 5개 브랜드의 세제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Consumer Attention to the Elements of Package Design Using Eye-Tracking : Focusing on the Detergent Package Designs of the Top 5 Best-Selling Brands in China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유택봉(Ze Feng Liu) 정병국(Byoung Guk Jeong)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1(통권 34권), 372~385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치열한 경쟁이 이루어지는 세제 시장에서 패키지 디자인은 소비자 유치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오프라인 환경에서 소비자는 제한된 시간 내에 구매 결정을 내리므로, 세제 패키지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핵심 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이트래킹을 활용하여 패키지 디자인의 구성요소가 소비자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내 판매량 상위 5개 브랜드의 패키지 디자인을 조사하고, 소비자의 시각적 주의력과 관련된 세부 측정지표를 활용하여 아이트래킹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주의력은 제품 및 브랜드 인식과 기억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상품과 브랜드의 특성에 기반한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기능적 소구 제품은 핵심 정보를 소비자의 시선이 가장 먼저 닿는 위치에 배치해야 하며, 감성적 소구 제품은 감각적 몰입을 유도하는 디자인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제품군별 디자인 전략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실무에 적용 가능한 패키지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e highly competitive detergent market, package design plays a crucial role in attracting consumers and enhancing brand competitiveness. Particularly in offline environments, where consumers make purchase decisions within a limited time, detergent packaging must effectively and rapidly convey key information while also stimulating purchase desi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package design components on consumer attention using eye-tracking technology.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d the package designs of the top five detergent brands by sales in China and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of eye-tracking data based on detailed visual attention metrics.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 attention positively influences product and brand recognition as well as memory formation. Consequently, prioritizing the visual elements of package design based on product and brand characteristics is essential. Functional appeal products should position key information in locations where consumer gaze is most likely to land first, while emotional appeal products should incorporate design elements that enhance sensory immersion. Future research should further analyze the differentiation of design strategies by product category and establish practical package design guidelines applicable in the industr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세제 브랜드 선정기준과 사례분석
4. 실험연구 및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택봉(Ze Feng Liu),정병국(Byoung Guk Jeong). (2025).아이트래킹을 활용한 패키지 디자인의 구성요소에 대한 소비자의 주의력 연구 - 중국 판매 상위 5개 브랜드의 세제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 (1), 372-385

MLA

유택봉(Ze Feng Liu),정병국(Byoung Guk Jeong).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패키지 디자인의 구성요소에 대한 소비자의 주의력 연구 - 중국 판매 상위 5개 브랜드의 세제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1(2025): 372-3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