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담배 패키지디자인의 부정적 시각표현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 형성에 미치는 역할

이용수 1

영문명
The Role of Negative Visual Expression of Domestic Cigarette Package Design o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나경훈(Kyung Hoon Na)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1(통권 34권), 119~13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 세계적으로 흡연율을 낮추기 위한 규제 정책이 강화되고 있으며, 대한민국도 2016년부터 담배 패키지에 건강을 경고하는 그림의 삽입을 의무화하였다. 이러한 부정적 시각표현은 소비자에게 건강의 위험성을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흡연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결과, 담배 패키지의 경고그림과 컬러의 대비는 소비자에게 강한 거부감을 유발하여 소비자 태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이미지는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가장 크게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짧고 명확한 경고문구는 소비자의 경각심을 높여 구매의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타이포그래피와 레이아웃은 소비자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소비자 태도는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시각표현이 소비자의 부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구매의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담배 패키지디자인이 소비자 행동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며, 보다 효과적인 금연 정책과 시각적 경고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기초로 다양한 발전적 연구를 통해 공중보건 정책과 규제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Regulatory policies to lower smoking rates are being strengthened worldwide, and the Republic of Korea has also made it mandatory to insert health warning pictures in cigarette packages since 2016. These negative visual expressions are expected to directly communicate health risks to consumers and induce changes in attitudes toward smok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he warning picture and contrast of color of the cigarette package caused strong reluctance to consumers, affecting changes in consumer attitudes, and in particular, the image acted as a factor that greatly reduced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hort and clear warning sentence have the effect of raising consumer awareness and suppressing purchase intention. Consumer attitudes direc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s, and negative visual expressions formed consumers' negative attitudes and tended to lower purchase intentions through this. These findings empirically demonstrate that cigarette package design has a substantial impact on consumer behavior, suggesting the need for more effective smoking cessation policies and visual warning strategies.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developmental studies can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public health policies and regulatory strateg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디자인 분석
4. 실증연구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경훈(Kyung Hoon Na). (2025).국내 담배 패키지디자인의 부정적 시각표현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 형성에 미치는 역할. 한국디자인리서치, 10 (1), 119-130

MLA

나경훈(Kyung Hoon Na). "국내 담배 패키지디자인의 부정적 시각표현이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 형성에 미치는 역할." 한국디자인리서치, 10.1(2025): 119-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