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지털 매체 인터페이스 특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media interface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최지석(Ji Seok Choi) 윤재은(Jae Eun Yoon)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1(통권 34권), 144~155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지털 매체 인터페이스 특성을 분석하고 사용자 경험 중심으로 그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박물관의 정의와 디지털 매체의 인터페이스의 이론 고찰, 사례 분석 틀 구축, 분석 사례 소결 정리 순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지털 매체 인터페이스는 접속성, 관계성, 동시성 세가지 특성으로 도출됐다. 접속성 인터페이스는 터치스크린, 점자 패드 등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연령대와 장애 유형을 고려한 정보 접근 및 편의 서비스 제공, 시, 공간 장소에 제약 없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특성을 보였다. 동시성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실시간 검색 및 피드백이 가능하며, 시각화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관계성 인터페이스는 음성인식, 인공지능, 맞춤형 콘텐츠 등을 통해 개인 맞춤형 학습 경험을 하고 관람자가 AI 챗봇과의 개인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는 관계성 특성이 보였다. 결론적으로 국립중앙박물관은 디지털 매체를 통해 물리적 공간과 가상 세계를 융합한 문화복합 공간으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다. 이는 향후 디지털 매체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며 국립중앙박물관이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정보 전달 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utilizing digital media in various ways in keepi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fac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digital media to derive interface characteristics of connectivity, relationship, and simultaneit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cts as an interface to deeply analyze heritage through digital technology, spread cultural diversity, share it with the world, and deliver new knowledge to future society. This is intended to be presented as data for developing a system of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that improve the user experience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help cultural understanding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지털 매체 인터페이스
4.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지털 매체 인터페이스 특성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윙하단] 시사북스 JLPT 기획전
  • [윙하단] 작가정신 대여전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