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자인 평가 방법론 제안 - ChatGPT, Midjourney를 중심으로

이용수 4

영문명
Proposal for Design Evaluation Methodology Using Generative AI : Focusing on ChatGPT and Midjourney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임태호(Taeho Lim) 김용주(Yong Joo Kim) 나건(Ken Nah)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1(통권 34권), 338~347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hatGPT와 Midjourney를 활용한 생성형 AI 기반 디자인 검증 및 평가 방법론을 제안하여 디자인 프로세스의 객관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현재 생성형 AI는 주로 디자인 초기 단계에서 활용되지만, 본 연구는 최종 디자인 결과물의 검증 과정에서 AI를 적용하는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미지 생성형 AI(Midjourney)의 Image-to-Text 툴을 활용하여 디자인 이미지에서 텍스트 프롬프트를 추출한 후, 이를 기존 디자인 설명과 비교하여 조형적 유사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평가 항목은 콘셉트, 스타일, 형태, 구성, 색상, 질감의 6가지로 구성되며, 각 항목별 가중치를 설정하여 정량적 분석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다수의 공모전 수상작을 대상으로 평가 방법론을 테스트하였으며, 반복 평가를 통해 평가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초기 디자인 검증과 최종 디자인 점검을 자동화함으로써 디자인 최적화를 위한 실용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자인 검증프로세스를 정립함으로써 디자인 결과물의 객관성을 높이고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서 적용 가능성을 확대하는 데 기여한다. 이를 통해 디자인 의사결정의 신뢰성을 강화하고, 시장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 design verification and evaluation methodology using generative AI, focusing on ChatGPT and Midjourney, to enhance the objectivity and efficiency of the design process. While generative AI is mainly used in the early stages of design, this research explores its application in verifying final design outcomes. Using image-to-text tool, extracted text prompts from design images are compared with original design descriptions to assess aesthetic similarities. The evaluation framework includes six categories: concept, style, shape, composition, color, and texture, with weighted scoring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methodology is validated with award-winning design works, demonstrating reliability through repeated assessments. This approach enables automated verification at different design stages, providing insights for optimizing design options. By integrating AI into the design validation process, this study enhances evaluation objectivity and supports data-driven decision-making, ultimately improving market success potential.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디자인 평가 방법론
4.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윙하단] 시사북스 JLPT 기획전
  • [윙하단] 작가정신 대여전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