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단적 관찰을 통해 살펴본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 예측 요인

이용수 0

영문명
Predictive Variables of Developmental Dyslexia in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a Longitudinal Study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유해림(Haerim Yu) 배소영(Soyeong Pa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4, 767~775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발달성 난독아동에게 조기 선별 및 개입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 1학년과 2학년 시점별 예측 요인을 확인하여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아동을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난독아동 58명과 일반아동 82명을 1학년1학기(T1)와 2학년 1학기(T2)에 관찰하여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집단은 T2 시점에서 분류하였고, 각 시점별 낱말읽기, 문장읽기, 문단글 읽기유창성, 낱말쓰기, 문장쓰기 능력을 예측 요인으로 두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T1 시점에서는 문단글 읽기유창성과 낱말쓰기 능력이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각각의 오즈비는 1.963, 2.194로 나타났다. T2 시점에서는 낱말읽기, 문장쓰기, 문단글 읽기유창성 능력이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낱말읽기 오즈비는 1.855, 문장쓰기의 오즈비는 1.913, 문단글 읽기유창성의 오즈비는 3.938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한국의 초등 1, 2학년 시기에 발달성 난독아동과 일반아동은 문단글 읽기유창성 검사에 의해 가장 많이 예측되었다. 낱말 쓰기는 초등 1학년에, 낱말 해독과 문장 쓰기는 2학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향후 난독아동을 효율적으로 선별 할 수 있는 도구개발에 기반이 되길 바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for developmental dyslexia in children is crucial.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redictive variables for efficiently screening you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by examining first and second graders. Methods: A longitudinal observation was conducted with 58 dyslexic children and 8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t two time points: the first semester of first grade (T1) and the first semester of second grade (T2).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using word reading, sentence reading, text reading fluency, word writing, and sentence writing as predictive variables. Results: In the first semester of first grade (T1), text reading fluency and word writing were identified as predictive variables, with odds ratios of 1.963 and 2.194, respectively. In the first semester of second grade (T2), word reading, sentence writing, and text reading fluency were confirmed as predictors, with odds ratios of 1.855, 1.913, and 3.938,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ext reading fluenc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distinguishing between dyslexic and typical children in the early grades. Additionally, word writing was significant in first graders, while word decoding and sentence writing were significant in second graders. These findings may inform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screening tools for dyslexia in the futur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해림(Haerim Yu),배소영(Soyeong Pae). (2024).종단적 관찰을 통해 살펴본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 예측 요인.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 (4), 767-775

MLA

유해림(Haerim Yu),배소영(Soyeong Pae). "종단적 관찰을 통해 살펴본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 예측 요인."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4(2024): 767-7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