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뇌성마비 아동의 삼킴 기능에 따른 섭식과 조음능력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Feeding and Articulation Abiliti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ccording to Swallowing Function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최연희(Yeonhee Choi) 신상은(Sangeun Shin)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4, 896~908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뇌성마비의 삼킴 기능은 말소리 산출에 필요한 조음기관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조음정확도와 긴밀한 관련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국내 뇌성마비 아동의 삼킴 기능과 섭식능력, 조음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방법: EDACS 단계에 따라 기능적 삼킴을 보이는 뇌성마비 집단 18명과 제한적 삼킴을 보이는 뇌성마비 집단 13명을 대상으로 뇌성마비 아동용 한국형 섭식 기능 평가, 조음기관 구조 기능 선별검사, 우리말 조음·음운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제한적 삼킴 집단이 기능적 삼킴 집단보다 진한 액체와 고형식에서 유의하게 낮은 섭식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음기관의 기능과 구조에 대해서도 제한적 삼킴집단의 백분율이 기능적 삼킴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구조보다는기능에서의 집단간 차이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한적 삼킴 집단의 조음정확도는 기능적 삼킴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자음정확도와 모음정확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섭식능력과 조음기관의 구조 및 기능, 조음정확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집단의 삼킴 기능과 음식 재질에 따라 상관관계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EDACS에 기반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삼킴 기능에 따른 섭식능력과 조음기관의 구조 및 기능, 조음정확도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섭식과 말명료도의 관계성에 집중된 선행연구를 확장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제한적 삼킴 기능을 보이는 뇌성마비 아동의 경우 조음기관의 구조보다는 기능적 측면에서의 어려움이 가중되어, 섭식뿐만 아니라 자음과 모음정확도의 말 산출 능력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삼킴, 섭식, 조음에 관여되는 구강근육 운동훈련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Objectives: Swallowing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rticulatory organs required for speech production and articulation accuracy. This study aims to find clinical evidenc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wallowing function, feeding ability, and articula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Korea. Methods: A total of 31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assessed, divided into a functional swallowing group (N= 18) and a limited swallowing group (N= 13) based on the eating and drinking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EDACS). The Korean assessment method for feeding abiliti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for children (SMST-C), and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U-TAP) were administered. Results: The limited swallow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feeding abilities for thick liquids and solid foods, as well as lower scores in articulatory organ structure and function, with a greater disparity in function. They also had lower articulation accuracy, though consonant and vowel accurac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Correlations among feeding ability, articulatory organ characteristics, and articulation accuracy varied by swallowing function and food texture. Conclusion: This study extends previous research findings by highlighting differences in feeding ability, articulatory structure and function, and articulation accuracy according to swallowing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ased on the EDACS. The findings highlight that children with limited swallowing function face greater challenges in articulatory function, impacting both feeding and speech production, thereby emphasizing the need for oral motor training targeting these area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연희(Yeonhee Choi),신상은(Sangeun Shin). (2024).뇌성마비 아동의 삼킴 기능에 따른 섭식과 조음능력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 (4), 896-908

MLA

최연희(Yeonhee Choi),신상은(Sangeun Shin). "뇌성마비 아동의 삼킴 기능에 따른 섭식과 조음능력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4(2024): 896-9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