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편측성 난청 성인의 인공와우이식 전과 후의 경험: 현상학적 질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dults with Single-Sided Deafness Before and After Cochlear Implantation: A Qualitative Study of Patients’ View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장성진(Seong-Jin Jang) 전영명(Young-Myoung Chun) 이영미(Youngmee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4, 967~98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 전과 후의 편측성 난청 성인의 인식 및 경험을 의사소통, 신체 및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탐구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편측성 난청 성인 5명을 대상으로 인공와우이식 전과 후의 경험에 관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내용을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인공와우이식 전과 후의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이식 전의 삶은 편측성 난청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신체 및 정신 건강 저하, 사회 참여 제한되는 부정적 피드백 사이클을 보여주었다. 반면, 인공와우이식 후에는 편측성 난청이 완화되면서 신체 및 정신 건강이 향상되고, 사회참여가 확대되면서 부정적인 피드백 사이클이 완화되었다. 그리고 인공와우 소리 질의 한계 및 향상에 대한 욕구를 확인하였다. 논의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편측성 난청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인공와우이식을 통해 청력이 회복되면서 삶의 질이 향상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기 난청 발견 및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편측성 난청에 대한 인식 확대, 경제적 및 심리적 지원제도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불어, 수술 전 인공와우 소리의 음질에 대한 현실적인 기대치 설정, 음질 향상을 위한 전문가의 노력 및 지속적인 상담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dults with single-sided deafness (SSD) before and after cochlear implantation, with a focus on the impacts on communicati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Methods: A qualitative approach was employed, involving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adults who received a cochlear implant for SSD.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before cochlear implantation, participants experienced significant communication difficulties, a decline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limitations. These challenges includ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speech in noisy environments, physical imbalance, anxiety, and reduced social interactions. Post-implantation, participants reported improvements in communication, as well a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However, some participants noted limitations in the sound quality provided by the cochlear implant. Conclusion: Cochlear implantation substantially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for adults with SSD by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ies,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and social engagement. Nonetheless,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need for ongoing support to address the limitations in sound quality and the associated psychological impact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생성동화를 활용한 개별 맞춤형 책읽기 활동이 미취학 아동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학령전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형태통사 단서를 활용한 동사 의미 추론
- 음운, 철자, 형태의미능력을 고려한 취학전 읽기고위험군 아동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 Multimodal Reading Strategies in Native and Advanced L2 Korean Speakers: An Eye-Tracking Study of Text, Image, and Auditory Integration
- 원발진행실어증 환자의 세 아형별 발화 위치에 따른 쉼 특성
- 편측성 난청 성인의 인공와우이식 전과 후의 경험: 현상학적 질적 연구
- 일반 노인의 이야기 회상 수행력: 자극 양식, 연령 집단 및 수행 시점에 따른 차이
- 언어장애 동반 유무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 과제 수행 특성
- 정상압수두증과 파킨슨병 환자의 이야기 정보인출 수행력
- 뇌성마비 아동의 삼킴 기능에 따른 섭식과 조음능력 연구
- 청각장애 대학생의 의사소통 경험 탐색
- Voice Therapy Method for Post-Thyroidectomy Syndrome
- 말을 더듬는 사람의 말 운동 능력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 내러티브 기반의 집단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일대일 및 발표 상황에서 청각장애 아동의 경험 이야기 산출 능력에 미치는 효과
- RSVP 패러다임을 사용한 통사적 복잡성과 제시속도 조절이 노인성 난청의 문장이해에 미치는 영향
- 기계학습을 활용한 영유아 온라인 언어 선별검사의 응답 성실도 탐지 연구
- 시선추적을 활용한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추론 이해 및 오류 유형 비교
- 형태처리기반 용언활용 중재가 경계선급 지적기능성 아동의 철자쓰기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 경계선급 지적 기능성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
- 다문화 언어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비구어 실행기능의 임상적 진단 가능성 탐색
- 종단적 관찰을 통해 살펴본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 예측 요인
-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 및 의미 일치성에 따른 정서인식 특성
- 초등 학령기 아동의 쓰기 작문을 예측하는 언어, 읽기 및 음운처리 능력
- 어순 전형성이 노년층의 자기조절읽기 기반 실시간 관형절 처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보단위 분석을 통한 일반 노인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능력과 이름대기 및 기억능력의 상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일반 노인의 이야기 회상 수행력: 자극 양식, 연령 집단 및 수행 시점에 따른 차이
- 언어장애 동반 유무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 과제 수행 특성
- 정상압수두증과 파킨슨병 환자의 이야기 정보인출 수행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