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선추적을 활용한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추론 이해 및 오류 유형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Comparison of Inference Comprehension and Error Types in Pre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rough Eye-Tracking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손진경(Jinkyeong Son) 임동선(Dongsun Y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4, 703~71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기의 일반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간 이야기 추론 이해 능력과 추론 오류 유형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야기 듣기 상황과 이야기 중 추론 질문이 제시된 상황에서 안구 움직임을 수집함으로써 실시간 정보 처리 과정이 추론 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4세부터 6세까지의 아동 22명(일반 아동 12명, 단순언어장애 아동 10명)이연구에 참여하였다. 이야기 2편을 제시하며 시선추적을 한 다음 추론 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다. 집단 간 추론 이해 능력과 시선고정 변수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추론 이해 능력과 시선고정 변수 간 관계를 살피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추론 오류문항을 5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집단 간 유형별 빈도를 살펴보았다. 결과: 집단 간 추론 이해 능력과 추론 오류 유형 중 이해 실패의 빈도, 이야기 상황에서의 평균 시선고정시간, 추론 상황에서의 시선고정횟수, 시선고정시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추론 이해 능력과시선고정횟수, 시선고정시간 간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추론 과정은 보다 복잡한 인지적 처리 과정이 요구되므로 성공적인 추론을 위해 오류 문항을 살펴보고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함과 정보 처리에 있어 보다 높은 주의집중이 요구되며, 상황에 따라 정보통합에 있어 시각적 또는 청각적 단서 제공을 고려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inference comprehension and the types of inference errors in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using eye-tracking technology. Methods: A total of 22 children (12 TD, 10 SLI), aged 4 to 6 years, participated. Eye-tracking data were collected while they viewed a story, followed by completion of an inferential comprehension task. One-way ANOVA compared task performance and fixation variables, with correlation analysis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Inference error responses were categorized into 5 types, and the frequency of errors for each type was compared between groups. Results: Between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erformance on inferential comprehension tasks and the frequency of comprehension failures in inference error types. Average fixation time during storytelling situations, fixation count during inference situations, and fixation time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and fixation count, as well as between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and fixation time. Conclusion: The process of inference involves complex cognitive processing, requiring examination of error responses for successful inference and a step-by-step approach. Higher attention levels are necessary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pending on the situation, visual or auditory cues can aid in information integratio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진경(Jinkyeong Son),임동선(Dongsun Yim). (2024).시선추적을 활용한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추론 이해 및 오류 유형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 (4), 703-716

MLA

손진경(Jinkyeong Son),임동선(Dongsun Yim). "시선추적을 활용한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추론 이해 및 오류 유형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4(2024): 703-7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