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 노인의 이야기 회상 수행력: 자극 양식, 연령 집단 및 수행 시점에 따른 차이
이용수 0
- 영문명
- Information Retrieval Performance on Story Recall in Normal Aging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박유민(Yu-Min Park) 조유정(Yoo-Jung Cho) 김나연(Nayeon Kim) 이지호(Jiho Lee) 박기수(Ki-Su Park) 윤장혁(Janghyeok Yoon) 하지완(Ji-Wan Ha)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4, 859~87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극 양식, 연령 집단, 수행 시점에 따라 일반 노인의 이야기 회상 수행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 노인 73명을 65-74세 집단과 75세 이상 집단으로 구분한 후 청각 조건과 시청각 조건에 무작위 배치하여 이야기 회상 과제를 실시하였다. 각 독립변수에 대해 이벤트 시퀀싱 점수와 총 IU 수를 비교하였고, 정보찾기 행동을 재구성, 반복, 삽입어, 첨가로 분류하여 정보찾기 행동 유형별 산출 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자극 양식 및 연령, 수행 시점에 따른 이벤트 시퀀싱 점수에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자극 양식 및 연령, 수행 시점에 따른 총 IU 수에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모든 집단에서 1차 회상에 비해 2차 회상에서 평균적으로 수행력이 높았다. 셋째, 이야기 회상 과제 시 나타나는 정보찾기 행동 산출 빈도에 대한 분석 결과, 1차 수행과 비교하여 2차 수행에서 모든 유형의 정보찾기 행동 산출 빈도가 줄어들었고, 특히 삽입어와 첨가에서 수행 시점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이야기 회상 평가의 규준 구축 시 고려해야 할 변수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stimulus modality, age group, and time of performance differed in story recall performance in normal aging. Methods: Seventy-three healthy older adul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65-74 years old and 75+ years old, and randomly assigned to an auditory condition and an audiovisual condition to perform a story recall task. For each independent variable, event sequencing scores and total number of information units (IUs) were compared, and information-finding behaviors were categorized into reformulation, repetition, filler, and insertion in order to compare the frequency of production by type of information-finding behavior.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event sequencing score according to modalities, age, and time interval.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total number of IUs according to modalities, age, and time interval, but all groups performed better on average in the second trials than in the first. Third, the frequencies of all types of information-finding behaviors decreased in the second trials compared to the firs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ime intervals, especially in fillers and insertion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variabl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norms for story recall assessment.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생성동화를 활용한 개별 맞춤형 책읽기 활동이 미취학 아동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학령전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형태통사 단서를 활용한 동사 의미 추론
- 음운, 철자, 형태의미능력을 고려한 취학전 읽기고위험군 아동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 Multimodal Reading Strategies in Native and Advanced L2 Korean Speakers: An Eye-Tracking Study of Text, Image, and Auditory Integration
- 원발진행실어증 환자의 세 아형별 발화 위치에 따른 쉼 특성
- 편측성 난청 성인의 인공와우이식 전과 후의 경험: 현상학적 질적 연구
- 일반 노인의 이야기 회상 수행력: 자극 양식, 연령 집단 및 수행 시점에 따른 차이
- 언어장애 동반 유무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 과제 수행 특성
- 정상압수두증과 파킨슨병 환자의 이야기 정보인출 수행력
- 뇌성마비 아동의 삼킴 기능에 따른 섭식과 조음능력 연구
- 청각장애 대학생의 의사소통 경험 탐색
- Voice Therapy Method for Post-Thyroidectomy Syndrome
- 말을 더듬는 사람의 말 운동 능력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 내러티브 기반의 집단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일대일 및 발표 상황에서 청각장애 아동의 경험 이야기 산출 능력에 미치는 효과
- RSVP 패러다임을 사용한 통사적 복잡성과 제시속도 조절이 노인성 난청의 문장이해에 미치는 영향
- 기계학습을 활용한 영유아 온라인 언어 선별검사의 응답 성실도 탐지 연구
- 시선추적을 활용한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추론 이해 및 오류 유형 비교
- 형태처리기반 용언활용 중재가 경계선급 지적기능성 아동의 철자쓰기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 경계선급 지적 기능성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
- 다문화 언어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비구어 실행기능의 임상적 진단 가능성 탐색
- 종단적 관찰을 통해 살펴본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 예측 요인
-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 및 의미 일치성에 따른 정서인식 특성
- 초등 학령기 아동의 쓰기 작문을 예측하는 언어, 읽기 및 음운처리 능력
- 어순 전형성이 노년층의 자기조절읽기 기반 실시간 관형절 처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보단위 분석을 통한 일반 노인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능력과 이름대기 및 기억능력의 상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일반 노인의 이야기 회상 수행력: 자극 양식, 연령 집단 및 수행 시점에 따른 차이
- 언어장애 동반 유무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 과제 수행 특성
- 정상압수두증과 파킨슨병 환자의 이야기 정보인출 수행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