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운, 철자, 형태의미능력을 고려한 취학전 읽기고위험군 아동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Latent Profile Analysis of At-risk Preschool Readers Focusing on Phonological, Orthographic, and Morpho-Semantic 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소담(Sodam Kim) 유해림(Haerim Yu) 배소영(Soyeong Pa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4, 753~76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단어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음운, 철자, 형태의미능력에 따라 취학전 읽기고위험군 아동을 서로 다른 집단으로 분류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5세 반에 재원 중인 취학전 읽기고위험군 아동 7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아동은 인지능력에는 어려움이 없으나 또래에 비해 단어 읽기능력에 어려움을 가지는 아동이었다. 음운, 철자, 형태의미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각각 세 가지 과제를 사용하였다. 음운능력을 위해 음운인식, 음운기억, 자음정확도, 철자능력을 위해 자소지식, 의미단어쓰기, 무의미단어 쓰기, 형태의미능력을 위해 수용어휘, 표현어휘, 형태소구조 과제를 사용하였다. 음운, 철자, 형태의미능력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실시하였고 분류된 잠재집단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LPA 결과, 네 개의 잠재집단이 확인되었다. 네 개 잠재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능력에서 잠재집단 1이 가장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잠재집단 2가 가장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잠재집단 3은 철자능력에서 강점을 보였으며 잠재집단 4는 철자능력에서 약점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취학전 읽기고위험군 아동이 LPA를 통해 ‘음운, 철자, 형태의미가 모두 어려운 읽기고위험군’, ‘음운인식의 약점을 가지는 읽기고위험군’, ‘음운인식과 형태의미능력의 약점을 가지는 읽기고위험군’, ‘음운인식과 자소지식의 약점을 가지는 읽기고위험군’으로 분류되었다. 동일하게 단어 읽기의 어려움을 가지는 읽기고위험군이라도 읽기 관련 요인들에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preschool readers, focusing on their phonological, orthographic, and morpho-semantic abilities. Methods: Seventy preschool children aged 5-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children had no cognitive difficulties but had reading difficulties compared to their peers. Phonological, orthographic, and morpho-semantic abilities were assessed using three tasks for each ability: phonological awareness (PA), phonemic memory (PM), and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PCC) for phonological ability; letter knowledge (LK), word writing (WW), and nonword writing (NW) for orthographic ability; receptive vocabulary (RV), expressive vocabulary (EV), and morphological structure (MS) for morpho-semantic ability.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using the three abi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latent groups classified through the LPA were examined. Results: Four latent groups were identified based on phonological, orthographic, and morpho-semantic 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group had the lowest performance, while the second group had the highest performance across all three abilities. The third group had strengths in orthographic ability, whereas the fourth group had weaknesses in orthographic ability. Conclusion: The at-risk preschool readers was classified into ‘group with difficulties in all three abilities,’ ‘group with weaknesses in PA’, ‘group with weaknesses in PA and morpho-semantic abilities’, and ‘group with weaknesses in PA and LK.’ Although they share difficulties in reading, they ma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phonological, orthographic, and morpho-semantic abilities. Therefore, individualized support based on a comprehensive reading assessment is needed to improve their reading abilitie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담(Sodam Kim),유해림(Haerim Yu),배소영(Soyeong Pae). (2024).음운, 철자, 형태의미능력을 고려한 취학전 읽기고위험군 아동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 (4), 753-766

MLA

김소담(Sodam Kim),유해림(Haerim Yu),배소영(Soyeong Pae). "음운, 철자, 형태의미능력을 고려한 취학전 읽기고위험군 아동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4(2024): 753-7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