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ultimodal Reading Strategies in Native and Advanced L2 Korean Speakers: An Eye-Tracking Study of Text, Image, and Auditory Integration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임우열(Wooyeol L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4, 811~82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들으면서 읽기(Reading-while-listening, RWL) 조건에서 청각 입력이 한국어 모어 화자(L1)와 고급 한국어학습자(L2)의 다중양식 텍스트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이때 나타나는 읽기 전략과 작업 기억(working memory, WM)의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28명의 참여자(한국어 모어 화자 14명, 고급 학습자 14명)를 대상으로 시선 추적 기법을 사용하여 글과 그림, 그리고 오디오로 구성된 다중양식 텍스트를 읽는 동안의 안구 운동 패턴을 시선 고정 시간과 고정 횟수, 이동 횟수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WM 용량을 측정하고, 특정 읽기 전략 채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분석 결과, L1과 L2 모두 시각 자료보다는 문자 정보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였다. 특히 L2 학습자의 경우 고정 횟수와 시간이 유의미하게 더 높아 인지 부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략 사용에 있어서는 L2 학습자는 주로 국지적 전략을 사용한 반면, L1 학습자는 통합적전략(content integration reading)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WM 분석 결과, L1 학습자의 경우 WM이 높을수록 핵심어 기반 시선 전환 전략(keyword-triggerd switching)을 덜 사용하고 통합적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확인되었으나, L2 학습자에게서는 이러한 효과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RWL 상황에서 청각 입력이 L2 학습자의 이해를 보조할 잠재력이 있으나, 여전히 인지 부하가 남아 있어 전략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L2 학습자의 경우, WM 자원이 상대적으로 제한되거나 언어적 자동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그림·텍스트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교수학습 현장에서 어휘 난이도 조정, 시각 자료 설계, 전략 교육 등을 통한 체계적 개입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auditory input, specifically within the Reading While Listening (RWL) framework, on the comprehension of multimodal texts among native Korean speakers (L1)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L2). Additionally, it explores differential reading strategies and the influence of working memory (WM) capacity on the processing of multimodal content. Methods: Eye-tracking technology was utilized to examine the eye movement patterns of 28 participants (14 L1, 14 L2) as they engaged with multimodal texts consisting of written, visual, and auditory components. Key metrics—including dwell time, fixation count, and saccadic movements—were analyzed to gain insights into the cognitive processing behaviors of both groups. Furthermore, WM capacity was assessed to determine its effect on the adoption of specific reading strategie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both L1 and L2 learners predominantly focused on textual rather than visual information, with L2 participants exhibiting significantly higher fixation counts and longer fixation durations, indicative of elevated cognitive load. In terms of strategy use, L2 learners relied more on localized, compensatory strategies (e.g., keyword triggered switching), whereas L1 participants more frequently employed integrative strategies such as content integration reading.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while auditory input in RWL contexts can facilitate multimodal comprehension, it does not fully alleviate the heightened cognitive demands observed among L2 learners. Instructional approaches aiming to address these challenges may benefit from incorporating explicit strategy training and considering learners’ WM capacity to optimize multimodal reading outcomes.

목차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우열(Wooyeol Lim). (2024).Multimodal Reading Strategies in Native and Advanced L2 Korean Speakers: An Eye-Tracking Study of Text, Image, and Auditory Integratio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 (4), 811-829

MLA

임우열(Wooyeol Lim). "Multimodal Reading Strategies in Native and Advanced L2 Korean Speakers: An Eye-Tracking Study of Text, Image, and Auditory Integratio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9.4(2024): 811-8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