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 및 의미 일치성에 따른 정서인식 특성
이용수 0
- 영문명
- Affective Perception Characteristic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Prosody and Semantic Consistenc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보라(Bora Kim) 정부자(Bhuja Chu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4, 776~786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운율을 통한 정서지각은 사회적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요소이지만,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다양한 비언어적 단서로타인의 정서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기 위해 문장의 의미단서와 운율단서 중 어떤 정보에 의지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정서단서의 유무조건에 따라 정서인식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7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비장애 아동 7 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두 집단에게 문장의 의미단서와 운율이 일치하는 일치조건 20개, 의미단서와 운율이 일치하지 않는 불일치조건 20개씩 총 40개 문장 과제를 실시하였고, 아동 반응의 정확도와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고기능 자페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은 일치 조건과 불일치 조건에서 집단 간 정확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간접 단서-불일치 조건을 제외한 나머지 조건에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느린 정서인식 반응시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보인 느린 반응시간은 교차감각의 통합과 추론처리과정 결함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정서 및 집단과의 비교와 더 많은 수의 대상자가 포함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erception of emotions through prosody is crucial to social communication. Howeve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often struggle to recognize others’ emotions based on various non-verbal cu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SD rely more on semantic cues or prosodic cues when perceiving others’ emotions.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s how emotion recogni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consistency of emotional cues. Methods: Seven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SD and seven typically developing school-aged children matched by chronological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Both groups were presented with 40 sentence tasks, consisting of 20 sentences where semantic and prosodic cues were consistent (consistency condition) and 20 inconsistent sentences (inconsistency condition). The accuracy and response time of the children’s affective perception based on prosody were measur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between the groups in both consistent and inconsistent conditions. However,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SD exhibited slower affective perception response time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all conditions except for the indirect cue-inconsistency condition. Conclusion: The slower response times observed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SD may be explained by the multimodal binding and inferential processing deficit. Further research with a larger sample size and more diverse groups is necessary to validate these finding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생성동화를 활용한 개별 맞춤형 책읽기 활동이 미취학 아동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학령전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형태통사 단서를 활용한 동사 의미 추론
- 음운, 철자, 형태의미능력을 고려한 취학전 읽기고위험군 아동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 Multimodal Reading Strategies in Native and Advanced L2 Korean Speakers: An Eye-Tracking Study of Text, Image, and Auditory Integration
- 원발진행실어증 환자의 세 아형별 발화 위치에 따른 쉼 특성
- 편측성 난청 성인의 인공와우이식 전과 후의 경험: 현상학적 질적 연구
- 일반 노인의 이야기 회상 수행력: 자극 양식, 연령 집단 및 수행 시점에 따른 차이
- 언어장애 동반 유무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 과제 수행 특성
- 정상압수두증과 파킨슨병 환자의 이야기 정보인출 수행력
- 뇌성마비 아동의 삼킴 기능에 따른 섭식과 조음능력 연구
- 청각장애 대학생의 의사소통 경험 탐색
- Voice Therapy Method for Post-Thyroidectomy Syndrome
- 말을 더듬는 사람의 말 운동 능력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 내러티브 기반의 집단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일대일 및 발표 상황에서 청각장애 아동의 경험 이야기 산출 능력에 미치는 효과
- RSVP 패러다임을 사용한 통사적 복잡성과 제시속도 조절이 노인성 난청의 문장이해에 미치는 영향
- 기계학습을 활용한 영유아 온라인 언어 선별검사의 응답 성실도 탐지 연구
- 시선추적을 활용한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추론 이해 및 오류 유형 비교
- 형태처리기반 용언활용 중재가 경계선급 지적기능성 아동의 철자쓰기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 경계선급 지적 기능성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
- 다문화 언어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비구어 실행기능의 임상적 진단 가능성 탐색
- 종단적 관찰을 통해 살펴본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 예측 요인
-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 및 의미 일치성에 따른 정서인식 특성
- 초등 학령기 아동의 쓰기 작문을 예측하는 언어, 읽기 및 음운처리 능력
- 어순 전형성이 노년층의 자기조절읽기 기반 실시간 관형절 처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보단위 분석을 통한 일반 노인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능력과 이름대기 및 기억능력의 상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일반 노인의 이야기 회상 수행력: 자극 양식, 연령 집단 및 수행 시점에 따른 차이
- 언어장애 동반 유무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기억 과제 수행 특성
- 정상압수두증과 파킨슨병 환자의 이야기 정보인출 수행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