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이용수 38
- 영문명
- A Study on the Trend and its Implication for the School Curriculum evelop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화숙 권낙원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1호, 445~4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국내·외 관련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섯 가지 연구 동향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은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를 다룬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관한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 모형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관한 연구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에서 공통적으로 시사하고 있는 바는,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전문성 신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범위에 대한 공통된 합의점이 없었다. 넷째, 국내 학교 현장에 적용한 실제의 사례 연구가 부족하였다. 다섯째, 연구 동향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모형 연구에 있어서 모형 개발의 근거를 주로 이론적 탐색 과정에 두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슈화되고 있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draw its implications.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which relate to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e trend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could be listed as five categories; the significance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e resources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process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implications for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rend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First, it is common to need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professionalism extension of the teachers in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Second, there was not an agreement point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range. Third, it was insufficient to the case study which applied to the domestic school. Fourth, it is required to deal with the development process among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current and significant points for teachers and researchers to widen the understanding for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Ⅲ.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
Ⅳ.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의 시사점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1호 목차
- 학업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탈북 대학생들의 학습자 정체성 유형 탐색
- 고등학생의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의 상관관계
-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국민공통 기본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철학·내용체계·운영의 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 핵물리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경험에 대한 분석
-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비한 초등학교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국제 비교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개발
-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 놀이의 의미
-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높이뛰기 수업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양성과 임용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탐색에 대한 시론(始論)
- 봉사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 분석
-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