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비한 초등학교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국제 비교
이용수 9
- 영문명
-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Instruction Time in the Elementary School System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창언 민용성 오은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1호, 127~15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면적인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비한 초등학교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에 대한 국제비교를 수행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주5일 수업제 도입의 배경과 목적 및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행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와 외국의 수업시수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외국의 분석은 중앙집권식 교육과정 체제를 취하는 일본, 중국, 프랑스와 분권식 교육과정 결정 체제를 지닌 미국과 호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를 한 대상은 연간 수업일수, 연간 수업주수, 연간 수업시수, 주당 수업시수, 1일 수업시수이며, 각 교과와 학년별 비교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연간 수업일수와 주 수업일수는 외국에 비해 많았으나, 연간 수업시수와 1일 수업시수는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교과의 수도 외국에 비해 많게 나타났다. 따라서 전면적 주5일제 수업은 교육 체제 전반에 걸친 조정이 요구되었다. 이렇게 하기에는 너무나 부담이 많기 때문에 점진적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수업시수에 대한 양적인 측면에 한정되기 때문에 주5일 수업제로 이행하는 갈등과정과 같은 측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연구하지 못하는 제한이 따른다.
영문 초록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seeking ways to reduce instruction time in public school systems so that students can spend more time for their extra curricular activities. Since 2006, Korean public schools provide classes on Saturdays bi-weekly. Recently, however,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stopping classes on Saturdays altogether. However, educators and parents have expressed big concerns about lower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decreasing the amount of study time when the school days are reduced.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ways to adjust the school curriculum without affecting students' learning when the public schools do not provide classes on Saturda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suggest ways to adjust the school curriculum, the public school curriculum of 5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France, Japan, China, and Australia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case of Korea. Along with the curriculum,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ter-school activities, and week-end programs were also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the Korean public schools have longer instruction time and more compulsory subjects than comparative countr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Korean public schools consider the extra-curricular hours as regular instruction time while other countries do not. The suggestions were made accordingl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한국과 외국의 수업시수 사례
Ⅳ. 한국과 외국의 수업시수에 대한 논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1호 목차
- 학업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탈북 대학생들의 학습자 정체성 유형 탐색
- 고등학생의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의 상관관계
-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국민공통 기본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철학·내용체계·운영의 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 핵물리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경험에 대한 분석
-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비한 초등학교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국제 비교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개발
-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 놀이의 의미
-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높이뛰기 수업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양성과 임용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탐색에 대한 시론(始論)
- 봉사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 분석
-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