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이용수 33
- 영문명
- Critical review on the research trends and task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1호, 61~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반성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2006년부터로 이후 각종 학회나 단체 및 정부 기관의 연구 활동도 증가하고 있다. 그렇지만 다문화 교육 연구가 중등보다 초등과 유치원 교육에서 활발하며, 그 초점도 학교에서의 다문화 교육 실태나 내용, 방법 및 교사의 인식 등에 맞추어져 있다. 향후 연구에서 진지하게 고려할 사항이나 과제로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첫째, 다문화 교육 실태연구 대상의 확대와 심층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새터민에 대한 다문화 교육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 교육 대상자들의 요구나 원망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일부 교과 중심의 다문화 교육 연구에서 탈피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이중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일곱째, 우리 상황에 적합한 다문화 교육의 의미를 규정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suggest some directions and tasks for further study. For this purpose, I reviewed abundant research resource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which were published during 1995-2009.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rapidly from 2006 in Korea. However, most of studies were initiated by researchers who worked in subject matter rather than educationist. Furthermore, many meaning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limited as an assimilation or adjustment of foreigners. Also, many studi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focused mostly on the realities, contents, method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With these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d like to suggest some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further study.
First, the target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aimed at not only foreign students, but also Korean students. Second, it is also need to establish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for students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Third, it should examine the effect of diverse program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ers should have more concerns for the need or requisition of students and parents. Fifth, it is necessary to break from the some subject matter-centered research trend. Sixth, it needs development of bilingual education program. Finally,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levant to the Korean society.
목차
Ⅰ. 문제 의식
Ⅱ. 연구 방법 및 분석 대상
Ⅲ.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
Ⅳ. 다문화 교육 연구의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1호 목차
- 학업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탈북 대학생들의 학습자 정체성 유형 탐색
- 고등학생의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의 상관관계
-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국민공통 기본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철학·내용체계·운영의 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 핵물리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경험에 대한 분석
-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비한 초등학교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국제 비교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개발
-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 놀이의 의미
-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높이뛰기 수업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양성과 임용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탐색에 대한 시론(始論)
- 봉사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 분석
-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