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이용수 52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Style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현 서상완 정지희 이사사 장성화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1호, 107~12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성별, 학년별의 차이를 규명하고,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피험자는 서울지역에 재학중인 중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무성의한 응답지 9부를 제외한 총 241명을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적 학습력은 성별과 학년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학년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차이에서는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년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적 학습력 하위영역과 부모양육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창의성과 자율·통제를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변인들의 상대적 공헌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한 결과는 부모양육태도가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전체 변량 중 37.2%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음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와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o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scertain parents' rearing attitude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 and differ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gender, academic year and to analyze what relation there's between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I selected 250 testees out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ve in Seoul and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with 241 testees except for 9 respondent who answered insincerely by means of SPSS WIN 14.0.
Results of this research follow. In the first place, as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tatistically important differences emerged by gender and academic year. In the second place, the differences of parents' rearing attitude by low field has shown significant point by gender but did't in academic year. In the third place, as a result of looking into difference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low field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passive correlation was founded in every low field except for originality and self-control. In additio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to find out relative contribution degree by low independent variables of parents' rearing attitude towards self-directed learning was that parents' rearing attitude explained 37.2% out of all vari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 proposed implication to improve parents' rearing attitude towards about school student and self-directed ability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1호 목차
- 학업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탈북 대학생들의 학습자 정체성 유형 탐색
- 고등학생의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의 상관관계
-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국민공통 기본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철학·내용체계·운영의 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 핵물리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경험에 대한 분석
-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비한 초등학교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국제 비교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개발
-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 놀이의 의미
-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높이뛰기 수업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양성과 임용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탐색에 대한 시론(始論)
- 봉사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 분석
-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