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양성과 임용에 대한 고찰
이용수 19
- 영문명
- Inquiry on training and appointment of Korea's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식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1호, 87~1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예비교사들이 중등학교 체육교사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중심으로 예비체육교사 선발과 체육교사교육기관에서의 양성과정 및 자격증 취득과 임용과정에 관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중등학교 예비체육교사 선발전형 시 고교성적과 실기고사 중심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과 자질 검증의 비중을 좀 더 높인 선발방식의 전환이 필요하고, 체육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운영은 교과내용학 중심에서 교과교육학 중심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초기 경험인 교육실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시수를 교육선진국에 준하는 16주 이상의 수준이 요구되며, 체육 정교사 2급 자격증 취득은 무시험검정제도에서 졸업과 무관한 별도의 자격증시험을 통한 자격증 취득과 유효기간이 있는 자격증갱신제도의 도입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교원임용 시험은 이론의 경우 교과교육학에 비중을 더 강화하고, 임용전형의 평가 순서에 있어서도 교사의 자질을 먼저 평가하는 3차 교직수행능력을 1차 선발 시험으로 먼저 평가함으로써 체육교사의 자질과 능력이 우선 검증되는 형식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After analysing the appointment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the training course at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agency as well as acquiring license and the appointment procedure based on the procedure of becoming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e result is as follows.
There needs to be a change in the method of screening where, when selecting teachers greater importance should be put on the teaching profession aptitude as well as humanity as a means of employment, rather than on highschool records and practical test. Moreover the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university and the administration should put greater emphasis on the subject related pedagogy rather than the subject itself. The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n the early field experience and 16 weeks(at least) of early field experience corresponding to the developed nations, is required.
The second degree licens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s attained without examination concurrently with graduation. However attaining license through examination, separate from graduation and introduction to validity existing license renewal system should be considered. On the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in the case of theory, the subject pedagogy should be given more weight. On the assessment procedure of appointment examination, the third exam which assesses the disposition of the teacher should come before the first appointment examination thus inspecting the ability and quality of the teacher in prior to everything.
목차
Ⅰ. 서 론
Ⅱ. 중등학교 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1호 목차
- 학업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탈북 대학생들의 학습자 정체성 유형 탐색
- 고등학생의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의 상관관계
-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국민공통 기본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철학·내용체계·운영의 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 핵물리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경험에 대한 분석
-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비한 초등학교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국제 비교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개발
-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 놀이의 의미
-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높이뛰기 수업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양성과 임용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탐색에 대한 시론(始論)
- 봉사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 분석
-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