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봉사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 분석
이용수 4
- 영문명
- The Elementary Students' Awareness of Service Activities and the Current State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규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1호, 291~31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이 봉사활동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가지고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활동하는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초등학교 봉사활동의 효율적인 지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봉사활동의 개념과 변화 방향 및 선행연구를 간략하게 개관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3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향후 초등학교에서 봉사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봉사활동과 관련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전환을 위해 봉사활동에 대한 이해와 방법, 필요성, 참여 절차 등에 대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봉사활동은 학생들의 체험을 통해 바람직한 인격을 형성해 나가는 봉사학습이므로 초등학교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봉사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봉사활동 참여 기관이나 단체에 대한 이해 부족이 봉사활동 활성화의 저해 요인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at attitude elementary students have toward service activities when they volunteer for the activities, and to seek for effective instruction on the service activities in an elementary school.
For this, the concept, the changing pattern, and the precedent studies of service activities were briefly review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sixth grade students(345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ollowing problems should be solved in order to promote the service activities in an elementary school in the future.
First, to change the wa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 service activities, the instruction on the way to understand and perform service activities, the need, and the procedures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should be given.
Second, the service activities should be deliberately planned and guided by a school because they are one of the learning activities that help students form desirable personality through experiences.
Third, it is required that diversified program for service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Fourth, as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s or groups in need of service activities hindered the promotion of service activities, the measures against it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attract the vigorou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service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봉사활동의 이해와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 요약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1호 목차
- 학업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탈북 대학생들의 학습자 정체성 유형 탐색
- 고등학생의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의 상관관계
-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국민공통 기본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철학·내용체계·운영의 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 핵물리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경험에 대한 분석
-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비한 초등학교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국제 비교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개발
-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 놀이의 의미
-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높이뛰기 수업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양성과 임용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탐색에 대한 시론(始論)
- 봉사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 분석
-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