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과정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탐색에 대한 시론(始論)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Curricular Propriety Criteria of Social needs in Curriculum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경선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1호, 195~21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교육과정 가치, 목표, 내용 선정 원리 또는 준거 등의 이론적 탐색을 통해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를 탐색하고 향후 교육과정에 가해지는 사회적 요구를 합리적인 방법으로 선별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사회적 준거와 교육적 준거로 구분하고 이러한 준거를 통해 여과 과정을 거친 후 교육과정에 진입시켜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사회적 준거로는 사회적 보편성, 사회적 유용성, 사회적 중핵성, 공동의 선(goods)에의 부합성을 제시하였고, 교육적 준거로는 교육 목적 부합성, 교수 가능성, 학습 가능성, 학습자의 흥미 부합성, 교과 친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준거는 구체적 준거라기보다는 이론적 개관을 통한 추상적 준거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준거를 바탕으로 구체적 준거를 개발하고, 개발된 준거에 의해 사회적 요구를 검증하고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quire the curricular propriety criteria of social needs by searching theoretical consideration such as curriculum value, goal, and contents selection principle or criteria. Also, this research intends to deliver the direction of following study which can reflect the social needs that have influence on curriculum by assorting reasonably.
This research divided the curricular social needs into social criteria and educational criteria and indicated to input the curricular social needs after filtering using these two criteria. In addition, this research presented coincidence of social universality, social usefulness, social core, and appropriateness to common goods as the social criteria. Moreover, this research indicated education purpose coincidence, instruction possibility, study possibility, interest coincidence of students, and curricular fraternity as the educational criteria.
The presented criteria in this research places a limit on the abstract criteria not the concrete criteria. Therefore it is required to organize the system that develops the concrete criteria based on the abstract criteria, examines the social needs depending on developed criteria, and reflects on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교육과정 개발에서 교육 요소 선정 준거
Ⅲ.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1호 목차
- 학업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탈북 대학생들의 학습자 정체성 유형 탐색
- 고등학생의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의 상관관계
-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국민공통 기본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철학·내용체계·운영의 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 핵물리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경험에 대한 분석
-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비한 초등학교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국제 비교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개발
-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 놀이의 의미
-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높이뛰기 수업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양성과 임용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탐색에 대한 시론(始論)
- 봉사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 분석
-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