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철학·내용체계·운영의 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용수 6
- 영문명
- Philosophy, Contents, and Implementing Direction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채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1호, 153~17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철학과 내용 체계 및 운영의 방향을 초등학교에 초점을 두고 입체적으로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교육과정의 머리말에 들어있는 ‘교육과정의 성격’과 총론의 제1장과 제2장에 포함된 ‘교육과정의 구성 방침’과 ‘추구하는 인간상’ 및 ‘초등학교 교육목표’를 연결지어 그 철학을 분석하여 구조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긴밀한 관련 속에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을 확인하였다.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은 근본적으로 이들 교육과정의 철학과 주요 내용에 바탕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시각에서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을 교과활동, 재량활동, 특별활동, 평가라는 네 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out the philosophy, items of contents, and implementing direction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named momentary-partial improvement. So, the philosophy and items of contents in 7th curriculum are kept up i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the curriculum embodies the fundamental idea of becoming to realize its nature in the hands of agents of schooling guided by student based curriculum, curriculum for improving the schooling in its nature, and curriculum for maintaining the quality of schooling.
The idea pursues the grounding abilities and habits for learning and life as version of elementary school to 'devotion to the welfare of mankind' as the ideal image of man in Korea. To carry through out the purpose, the curriculum has three areas of activities: school subjects activity, extraordinary activity, and discretionary activity. Moreover, teacher runs standard times alloted in the curriculum intentionally. Of course, in this case, teacher must obey the guidelines connected with the matter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to this limitation, teacher is forced to conform with the implementing plans of each areas in the curriculum.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designed to fulfill the balance between generality in degree of nation and peculiarity in school through this ways.
목차
Ⅰ. 서 론
Ⅱ.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배경
Ⅲ.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Ⅳ. 교육과정 운영의 일반적인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1호 목차
- 학업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탈북 대학생들의 학습자 정체성 유형 탐색
- 고등학생의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의 상관관계
-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국민공통 기본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철학·내용체계·운영의 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 핵물리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경험에 대한 분석
-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비한 초등학교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국제 비교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개발
-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 놀이의 의미
-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높이뛰기 수업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양성과 임용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탐색에 대한 시론(始論)
- 봉사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 분석
-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