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imary art textbooks of 2007 Korean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1호, 355~3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과용 도서는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가장 구체적이면서도 대표적인 자료이다. 2010년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 미술 교과용 도서(초등학교 3, 4학년, 중학교 1학년(1, 2, 3학년 합본))가 개발 완료되어 현장에 적용되는 시기이며, 또한 초등학교 5, 6학년 교과용 도서, 고등학교 1학년 학생용 교과서의 심사 결과에 따라 2011년 3월 발행을 위해 수정 보완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특별히 초등학교 5, 6학년 미술 교과용 도서의 개발이 기존의 국정이 아닌 검정 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다양한 시각이 반영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초등학교 전 학년의 미술 교과용 도서가 검정 체제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부합하면서도 미술교과 교수·학습에 적절한 내용을 점검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일은 의미가 있다. 현재 국정으로 기 개발된 초등학교 3, 4학년과 검정으로 개발되는 5, 6학년 미술 교과용 도서는 교과서 발행 제도의 차이만큼이나 교수·학습 내용의 접근 방법에 차이가 있을 것이 예상된다.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차이는 검정 체제에서 존중되어야 하는 다양성으로 인정되면서도, 교육과정의 학년군별 내용에 준하는 내용을 선별하고 3, 4학년의 내용과 연계성 및 체계성을 지닌 5, 6학년 교과용 도서 개발이 요구되는 것은 당연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과 목적 하에 초등학교 3, 4학년 미술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터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미술 교과서의 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초·중등 미술 교과용 도서 전체가 검정 제도에서 개발될 경우를 대비하여 교육과정을 가장 잘 실현할 수 있으면서도 초·중등 미술과 ‘미적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연계성에 기초하여 학교급·학년군·학년간의 연계성, 체계성, 효율성을 갖춘 교과용 도서의 개발은 미술교과의 필수 과제이면서도 해결해나가야 할 과제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analyze the content of primary art textbook for grade 3 & 4, and 2) to suggest the idea for the content organization of art textbook for grade 5 & 6. The new curriculum, called 2007 (rev.)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has been activated in the primary classroom along with government-designated primary art textbook for grade 3 & 4 since 2010. The primary art textbooks were developed mainly by the government(the Ministry of Education(ME),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MEHRD), curr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and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until 2010. Now the primary art textbook screening system for grade 5 & 6 has been changed to government-authorized, and there is every possibility of reflecting multiple standpoint. The challenge of developing art textbooks is as follows: First, the confirmity of interpreting the curriculum should be ensured by the screening system for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Second, well-prepared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content component and formation should be based.
목차
Ⅰ. 서 론
Ⅱ. 현행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발행 제도
Ⅲ. 초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의 개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1호 목차
- 학업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탈북 대학생들의 학습자 정체성 유형 탐색
- 고등학생의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의 상관관계
-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국민공통 기본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철학·내용체계·운영의 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 핵물리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경험에 대한 분석
-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비한 초등학교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국제 비교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개발
-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 놀이의 의미
-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높이뛰기 수업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양성과 임용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탐색에 대한 시론(始論)
- 봉사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 분석
-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