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이용수 20
- 영문명
- Direction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 multicultural socie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진선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1호, 403~42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가 급격하게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여 사회문화적 변화를 맞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적 특성과 언어 교육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그것을 기반으로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어과 교육의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변화 방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사회를 맞아 국어과 교육은 그 목표 차원에서 민족중심주의를 넘어서야함을 강조하였다. 또 내용 차원에서 국어과 교육 내용에 이중 언어 교육 혹은 다중 언어 교육 시대에 알맞은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 새롭게 설계하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국어과 교육의 방법 및 평가 차원에서 수준별 교수-학습 혹은 다양한 수준 및 형태의 국어과 교육 프로그램 운용의 강화, 한국어 교육 방법의 원용, 교과서 구성 및 체재의 변경,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변화, 공인된 국어 능력 평가 시행 등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영문 초록
Enter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rapidly, Korea is under going the socio-cultural change. This dissertation in vestigates the property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nd the role of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m, it investigates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mainly in the curriculum amended in 2007.
In the age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stressed that the ethnocentrism should be surpassed for the goal. In the contents, it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hould be newly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age of the bilingual education or multilingual education. In the aspect of method and evaluation, it emphasized that the teaching-learning at each level or enhancement of the program operation of diverse Korean language educations, the comprehensive arrangement of pedagogy of Korean language, the alteration in the composition of textbook and system, the change in the educational program of teacher and the implementation of authorized Korean language rating.
목차
Ⅰ. 서 론
Ⅱ. 다문화 사회와 언어 교육
Ⅲ.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고찰
Ⅳ. 다문화 사회에서 국어과 교육과정의 지향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1호 목차
- 학업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
-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탈북 대학생들의 학습자 정체성 유형 탐색
- 고등학생의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의 상관관계
-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국민공통 기본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철학·내용체계·운영의 방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 핵물리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경험에 대한 분석
-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비한 초등학교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국제 비교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개발
-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 놀이의 의미
-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높이뛰기 수업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의 중등학교 체육교사 양성과 임용에 대한 고찰
- 교육과정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탐색에 대한 시론(始論)
- 봉사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 분석
-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