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시사점
이용수 853
- 영문명
- Research Trends and Implications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gital Literac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임동신 김진숙 정광훈 최수빈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1호, 13~5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과 더불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오늘날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디지털 리터러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초기 디지털 리터러시는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에 대한 단순 이해와 활용 수준이었으나,최근에는 윤리의식을 기반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능력으로 발전하고 있다.특히 코로나19 는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던 활동 대부분을 온라인으로 이전시켰다는 점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의 주요 변곡점으로 여겨진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가발생하고 확산한 2020년을 기준으로 전과 후를 나누어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고 거기서 찾을 수 있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를 주제로 하는 797편의 논문을 게재일 기준으로 코로나전후로 나누어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고 연구의 양적 변화,키워드 빈도,키워드 연결 중심성,클러스터 맵 등을 파악하였다.국내는 모든 기간에서,국외는 전기를 제외하고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특히 국내 연구 후기의 경우180%가 넘는 증가율 나타냈다.또한 연구에서 등장하는 키워드로 살펴보면 국내·외모두 전기가 후기에 비하여 평균 2.5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클러스터 역시 다양해졌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국·내외 모두 전체 기간에서 ‘교육’과 직·간접적인 키워드가 디지털 리터러시의 핵심 연구 분야로 나타났고,전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단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할수 있는 능력에서 문제를 진단하여 해결하는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 addition to the rapidly c hanging digital environment,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is increasing for all members of society toda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Earlier, digital literacy consisted of a level of simpl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computer-based digital texts, but recently it has developed into the ability to diagnose and solve problems based on ethical awareness. In particular, COVID-19 is considered a major inflection point in digital literacy research in that it has resulted in the transfer of most of its activities from offline to online. Therefore, in this study,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gital literacy research starting in 2020, when COVID-19 started and spread, and the implications thereof were analyze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797 papers on the subjec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gital literacy into two periods based on their publication date, and quantitative changes in research, keyword frequency, keyword connection centrality, and cluster maps were identified. Research related to digital literacy has steadily increased in all periods in Korea and (except for the first period) abroad, but especially in Korea, which showed an increase of 180% in the second period. In addition, an examination of the keywords appearing in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average number increased during the second period more than 2.5 times as much as during the first period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and the clusters also became more diversifi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ducation” and direct and indirect keywords appeared as key research areas of digital literacy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and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period, digital literacy expanded from the ability to use simple digital tools to diagnosing and solving problem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절차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작품 검토와 이본 비교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두 문단 쓰기 과제 수행을 통한 체육 계열 대학생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팬데믹 시대의 생명과 데이터 리터러시
- 고령화 사회의 시니어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영상제작에 관한 사례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플라톤 『향연』에서 미적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 효과적인 대학 작문 지도를 위한 대화 전략 검토
-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분석
- 주제 선택에 따른 쓰기 수행 및 동기 차이 분석
-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AI시대, 작가의 죽음은 도래하는가
- 용서 딜레마 서사의 도덕적 상상력
- 몸으로 사유하기
- 창조적 ‘흐름’과 박경리 《토지》
- 리터러시 연구 14권 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재학 중 진로준비행동 유형과 노동시장 성과 간의 관계
- 직업계고 교사의 중등직업교육 지원 사업에 관한 만족도 및 요구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제도의 고용효과 분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