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팬데믹 시대의 생명과 데이터 리터러시
이용수 55
- 영문명
- Life and Data Literac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최성민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1호, 53~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0년 이후 코로나19는 전세계적 팬데믹으로 확산되었다.감염 확산과 동시에우리는 매일 아침,전국 단위의 확진자 수를 직접 확인하거나 문자메시지로 전달받는일에 익숙해졌다.확진자 수가 중요한 것은 확진자 수에 비례하여 사망자도 증가하기때문이다.3년 동안,우리는 코로나19라고 하는 신종 감염병으로 인한 확진자 수와 사망자 수를 언론 보도나 정부 발표를 통해 매일 확인할 수 있었다. 리터러시는 개인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참여에 필수적인 능력이다.그 중에서도 데이터 리터러시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우리는 팬데믹 시대에 숫자로 표현된 확진자수,사망자수,치명률들에 익숙해졌다.데이터 리터러시를 올바르게 이해한다면,그 숫자가 바로 생명을 의미하는 것임을 깨달아야 한다.이 논문이 주목하고자하는 것은 팬데믹 시대에 흔히 마주치는 숫자들,그 숫자들에 담겨 있는 생명의 문제이다. 우리는 3년 동안,많은 ‘숫자’들을 보았다.그러나 우리는 숫자에 감춰진 생명과 사람,고통,아픔,눈물을 세심히 들여다보지 못했다.재난적 감염병 상황에서의 숫자는곧 생명이다.팬데믹 과정에서 우리에게 익숙해졌던 그 숫자들은 곧 생명을 의미하는데이터였다.우리는 그것에 대해 보다 인간답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그것이 바로 우리에게 필요한 팬데믹 시대의 데이터 리터러시이다.
영문 초록
Since 2020, COVID-19 has spread global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 became habituated to visually checking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nationwide every morning.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is important because the number of deaths increases in proportion. For three years, we have been able to check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and deaths every day through media reports or government announcements. Literacy is an essential ability for individual communic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data literacy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We have become accustomed in the pandemic era to the confirmed cases, deaths, and fatalities expressed in numbers. In a correct understanding of data literacy, it is clear that this number means life. What this paper emphasizes is the numbers commonly encountered in the pandemic era, and the problem of life contained in those numbers. We have seen many “numbers” in three years, but have not looked closely at the life and people, the pain and tears hidden in these numbers. The number in a catastrophic infectious disease situation is life. The numbers we became used to during the pandemic meant life. We need to understand this more humanely. This is the data literacy of the COVID-19 pandemic that we need.
목차
1. 들어가며
2. 숫자와 생명 : 코로나19 영향을 데이터로 읽기
3. 숫자 뒤의 숫자들 : 초과사망의 문제
4. 취약한 사람들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작품 검토와 이본 비교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두 문단 쓰기 과제 수행을 통한 체육 계열 대학생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팬데믹 시대의 생명과 데이터 리터러시
- 고령화 사회의 시니어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영상제작에 관한 사례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플라톤 『향연』에서 미적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 효과적인 대학 작문 지도를 위한 대화 전략 검토
-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분석
- 주제 선택에 따른 쓰기 수행 및 동기 차이 분석
-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AI시대, 작가의 죽음은 도래하는가
- 용서 딜레마 서사의 도덕적 상상력
- 몸으로 사유하기
- 창조적 ‘흐름’과 박경리 《토지》
- 리터러시 연구 14권 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