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이용수 144
- 영문명
- Effects of Korean Writing Instruction in the Context of EnglishMedium Instruction: Changes i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정윤나 김정연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1호, 203~23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어강의 환경에서 대학 한국어 글쓰기 수업을 수강하는 내국인 학생들의 수업 전후의 글쓰기 동기와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회문화적 학습관점에서 이러한 학습자 요인과 영어강의 및 한국어강의 환경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관계가 한국어 글쓰기 수업 후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분석하여 한국어 글쓰기 수업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양적연구를 위하여 학습자들의 글쓰기 동기와 자기효능감,영어강의 및 한국어강의에 대한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를 개발하였다.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두 학기 동안 학기 초와 말,모두 네 번에 걸쳐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양적연구 결과의 분석 및 논의를 위해 학습자들이 작성한 수업 후기를 함께 활용하였다.연구 결과,한국어 글쓰기 교과 수강 후 학습자들의 글쓰기 동기 및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학습자들의 수업 후기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확인되었다.상관관계분석 결과,수강 전,학습자들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간,내적 동기와 자기효능감 간,외적 동기와 한국어강의에 대한 인식 간에 각각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그리고 수강 후,한국어강의에대한 인식과 영어강의에 대한 인식 사이의 부적상관관계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를 통해 글쓰기 동기와 자기효능감은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활동과 교수자의 피드백을 통해 자극되고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특히,한국어 강의 환경의 필요에 대한 인식이 영어강의 환경 대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이는 영어강의 정책을 시행하는 대학 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의 방향 설정 및 방안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Korean writing instruction in the context of an English-medium instruction (EMI) policy. It specifically investigates the changes of students’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rough a semester-long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the class. The dataset consisted of questionnaire responses about writ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English- and Korean-medium instruction (KMI) by college students learning Korean writing. Surveys were conduct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wo semesters. The analyses indicate that writing motivation (both extrinsic and intrinsic) and self-efficacy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writing course. Whil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Korean-medium instruction were found at the beginning of each semester, post-class data additionall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KMI and EMI. These results are discussed to highlight the contribution of Korean writing instruction in the context of EMI to increased student perception of KMI as well as their writ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작품 검토와 이본 비교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두 문단 쓰기 과제 수행을 통한 체육 계열 대학생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팬데믹 시대의 생명과 데이터 리터러시
- 고령화 사회의 시니어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영상제작에 관한 사례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플라톤 『향연』에서 미적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 효과적인 대학 작문 지도를 위한 대화 전략 검토
-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분석
- 주제 선택에 따른 쓰기 수행 및 동기 차이 분석
-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AI시대, 작가의 죽음은 도래하는가
- 용서 딜레마 서사의 도덕적 상상력
- 몸으로 사유하기
- 창조적 ‘흐름’과 박경리 《토지》
- 리터러시 연구 14권 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