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이용수 178
- 영문명
- Digital Literacy and Academic Presentation Strategie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강영란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1호, 77~10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서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학술 발표 전략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디지털 리터러시는 신소영·이승희(2019)의 ‘기본 업무 활용 능력’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학술 발표 전략은 이다슴·김지현(2022)의 발표 전략 유형과 문항을 수정하거나 보완하여 문항 간의 내적 일관성을 검정하여 측정하였다.첫째,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한국인 대학원생보다 부족하다.둘째,외국인 대학원생은 한국인 대학원생보다 학술 발표 전략을 활용하여 발표를 수행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구체적으로 외국인 대학원생은 발표진행 단계의 전략들을 활용하여 발표를 수행하는 능력이 한국인 대학원생보다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셋째,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증진될수록 학술 발표 전략도 향상될 수 있다.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외국인 대학원생에게 디지털리터러시가 학술 발표 전략을 활용하여 성공적인 학술 발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임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n their performance of academic presentation strategies in a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For digital literacy, Shin So-young and Lee Seung-hee’s (2019) “basic work utilization ability” measurement tool was used, and academic presentation strategy was measured by the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the questions by modifying or supplementing the types and questions of Lee Da-heom and Kim Jihyun (2022). First, the digital literacy capacity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is less sufficient than that of Korean graduate students. Second, foreign graduate students lack the ability to perform presentations using academic presentation strategies than Korean graduate students.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foreign graduate student lacked the ability to perform presentations using strategies in the stage of presentation progress compared to Korean graduate students. Third, as the digital literacy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improves, the academic presentation strategy can also improv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ults confirmed that digital literacy is a necessary competency for successful academic presentations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목차
1. 들어가며
2.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작품 검토와 이본 비교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두 문단 쓰기 과제 수행을 통한 체육 계열 대학생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팬데믹 시대의 생명과 데이터 리터러시
- 고령화 사회의 시니어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영상제작에 관한 사례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플라톤 『향연』에서 미적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 효과적인 대학 작문 지도를 위한 대화 전략 검토
-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분석
- 주제 선택에 따른 쓰기 수행 및 동기 차이 분석
-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AI시대, 작가의 죽음은 도래하는가
- 용서 딜레마 서사의 도덕적 상상력
- 몸으로 사유하기
- 창조적 ‘흐름’과 박경리 《토지》
- 리터러시 연구 14권 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