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이용수 126
- 영문명
- Self-Introduction Writing Education for College Freshmen Considering Genre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오현진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1호, 283~31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소개서를 활용해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취업 목적의 자기소개서 특성을 고려해 다양한 학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 자기소개서 교육뿐만 아니라 대학 신입생의 특성을 반영한 자기소개서 교육이 필요하다.이는 대학 신입생들의 자기소개서에 대한 교육적 요구를 고려함과 동시에 대학 신입생들이 자기소개서를 실제 제출해야 하는 실제 상황이 많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여기서는 대학 신입생들이 고등학교 때 받았던 자기소개서 교육 현황을 파악하기위해 선택 교과인<화법과 작문>교과서를 검토하였다.대학 교양 교육 내에서 글쓰기내용 생성을 위한 자기 탐색적 글쓰기 방법이 가지는 한계 역시 살펴보았다.이를 통해 대학 신입생을 위한 자기소개서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 작문 대상인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의 상황맥락인 ‘독자’와 글쓰기 목적인 ‘소개하기’에 있음을 도출하였다.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은 진로나 직업 탐색을 위한 자기 탐색뿐만 아니라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기본적인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켜 주는 것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자기소개서의 장르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능력,‘독자’에 대한 분석과 함께독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내용을 적절히 구성하고 표현하는 능력,‘소개’가 이루어지는 상황맥락을 고려하고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 내용선정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대학 신입생들은 자기소개 상황을 처음 배우는 것이 아니므로 현재 자기소개서에 대한 어떤 개념을 가지고 있는지,어떻게 작성하고 있는지학생 스스로 자신의 현 상태를 확인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여기에 다양한 자기소개서 예를 ‘실제 독자’로서 읽는 경험을 통해 독자에게 어떤 인상을 주는지 정리해 봄으로써,자기소개서의 효과적인 전략들을 발견하고 자신의 글에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할 것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pose ways to improve students’ writing skills us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in writing education for university freshmen. Currently, education on self-introduction letters targets students of different grad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s oriented toward seeking employment.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teach university freshmen how to write such letters, not only because of university freshmen’s need to learn about self-introduction letters but also the fact that they often must submit self-introduction letter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n self-introduction letters that university freshmen received in high school, the textbook Speech and Writing, one of the selective subjects, was reviewed. Also, the limitations of self-exploratory writing in creating writing content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this author concluded that what university freshmen should note in writing self-introduction letters is not just themselves, the object of writing, but also the “reader,”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and “introducing,” the purpose of writing such letters. Education on writing self-introduction letters for university freshmen should be aimed at not only self-exploration to examine their career path or jobs but also at enhancing the basic writing skills required of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this researcher notes the need to select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improve students’ abilities to consider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self-introduction, analyze the “reader” and organize and express contents that meet the reader’s needs properly, and achieve the goal of communication by considering the context in which the “introduction” takes place. Because it is not the first time for university freshmen to learn about the situation of self-introduction,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of education that starts by allowing them to check their current status on their own, for instance, what type of concept they have about self-introduction letters or how they write one.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education that allows them to experience reading various examples of self-introduction letters as a “real reader” and organize the impressions that the letters made on them so as to discover effective strategies to write a self-introduction letter and apply them to their own writing.
목차
1. 들어가며
2. 현재 자기소개서 교육 내용 검토
3. 장르 특성을 고려한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4.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술 발표 전략
-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 <퇴계선생환리가(退溪先生歡理歌)>의 작품 검토와 이본 비교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 글쓰기의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두 문단 쓰기 과제 수행을 통한 체육 계열 대학생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팬데믹 시대의 생명과 데이터 리터러시
- 고령화 사회의 시니어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영상제작에 관한 사례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과 시사점
- 플라톤 『향연』에서 미적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 효과적인 대학 작문 지도를 위한 대화 전략 검토
-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분석
- 주제 선택에 따른 쓰기 수행 및 동기 차이 분석
- 영어강의 환경에서의 한국어 글쓰기 교육
- AI시대, 작가의 죽음은 도래하는가
- 용서 딜레마 서사의 도덕적 상상력
- 몸으로 사유하기
- 창조적 ‘흐름’과 박경리 《토지》
- 리터러시 연구 14권 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